[영상] 尹대통령에게 보낸 일회용컵 1만개…무슨 일?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8 16:43:36
  • -
  • +
  • 인쇄
환경단체, 보증금제 전면 시행 촉구
1만명 서명과 함께 대통령실에 전달
▲일회용컵 보증금제 축소 시행을 규탄하는 시민단체 ⓒnewstree

환경시민단체들이 일회용컵 보증금제 시행을 세종과 제주로 축소한 환경부를 비판하고 1만명의 국민 서명을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18일 서울환경연합,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등 80여개 단체는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후퇴시킨 윤석열 정부를 규탄했다. 이들은 보증금제 시행을 주장하는 1만개의 온라인 국민 서명과 전국의 자원순환 활동가들이 모은 1만990개의 일회용 컵 쓰레기를 윤석열 대통령에게 전달하며 차질 없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전면 시행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기자회견에 나선 서울환경운동연합의 박정음 활동가는 "환경부는 6월 10일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3주 앞두고 12월로 보증금제를 또 유예했다"며 "심지어 시행 지역을 제주와 세종으로 축소해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본 취지를 매우 훼손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2년의 준비기간이 있었지만 환경부는 앞으로의 정책시행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최소한의 언급도 없다"며 "이제라도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회용컵에 부착해야하는 라벨 비용 등을 가맹점주에 지우지 말고 프랜차이즈 본사도 책임을 함께 지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무인회수기 문제도 거론됐다. 박 활동가는 "환경부가 일회용컵 반납의 편리를 위해 무인회수기를 설치하기로 했지만 감감무소식"이라며 "무인회수기를 하루빨리 확장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제도가 원활히 시행되기 위해서는 서울에서만 최소 1000대 이상의 무인회수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 환경부 검증을 통과한 무인회수기는 1대도 없는 실정이다.

▲방송인 줄리안은 "'케이팝, K-드라마와 함께 잘 갖춰진 K-일회용컵 보증금제'가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newstree

방송인이자 컵가디언즈 활동가인 줄리안 퀸타르트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해외에서도 검증받고 인증받은 제도"라며 "독일의 경우 보증금제를 통한 페트병 반납율이 99%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1년에 한국에서 사용되는 일회용컵이 84억개인만큼 보증금제를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K-드라마, K-pop 처럼 'K-일회용컵 보증금제도'가 잘 시행돼 일회용컵 보증금제에 관심이 많은 해외에서 선도적인 사례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고장수 이사장은 수차례의 논의 끝에도 가맹점주에 모든 부담을 전가하는 보증금제를 비판했다. 그는 "환경부는 일회용컵 보증금제에 대해 논의할 때 가맹점주들은 철저히 배제하고 프랜차이즈 본사와만 소통했다"며 "시행 한 달 전인 5월부터 가맹점주와 대화를 시도하고 18번의 회의를 했지만 결국 모든 비용에 대한 책임은 가맹점주들에게 지워졌다"고 비판했다. 

제주와 세종으로 제도를 축소 시행한 점에 대해 고 이사장은 "제도 시행을 1주일 앞두고 축소 시행을 알게됐다"며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환경부가 제대로 시행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일회용 컵 수거 업무를 담당하는 전주덕진지역자활센터 박준홍 센터장은 "컵보증금제 시행을 맞아 전주덕진지역자활센터는 부지를 대여하고, 차량과 인력을 보강하는 등 약 1억5000만원 투자했다"며 "그러나 세종시와 제주도에서만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이 노력이 모두 무의미해졌다"고 말했다. 전주덕진지역자활센터는 환경부 산하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에 제도 로드맵을 제시하고 제도 시행가능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했다.  

▲10194명 이상의 국민서명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는 시민단체 ⓒnewstree

다회용기 대여서비스를 하는 트래쉬버스터즈 곽재원 대표는 "일회용컵 보증금제 축소 시행에 따라  12월부터 다회용 컵 대여시스템을 이용하겠다던 여러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전부 취소 통보했다"며 "환경부의 안일한 태도로 다회용기 시장마저 뒷걸음쳤다"고 비판했다. 

쓰줍인 박현지 활동가는 "하루에 길거리에 버려지는 일회용컵 양이 어마어마하다"며 "이런 일회용컵을 줍기 위해 시민들이 매일 노력하고 있지만 세종과 제주에서만 컵 보증금제를 시행해 안타깝다"고 발언했다.

한편 한국은 6월 일회용컵 보증금제 도입을 발표한 이후 지속 가능한 저탄소 미래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Green Future Index 2022'에서 76개국 중 10위를 차지했다. 일회용 커피 컵에 대한 보증금 반환 제도를 도입하여 아시아 최대 카페 시장의 폐기물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단체는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무산시킬 경우 세계가 주목하는 정책적 성과를 망친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환경단체 기자회견 中 퍼포먼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후/환경

+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목표만 있고 시간표는 없는 NDC...연도별 감축 로드맵 의무화해야"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모두 연도별 감축경로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

AI로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 찾아준다

인공지능(AI)이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을 찾아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