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관리법 위반 사업장 3년간 1486곳 적발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1 11:02:24
  • -
  • +
  • 인쇄
454개 사업장에 과태료 17억 부과
유해화학물질 민원 年 3만건 이상

최근 3년간 1486개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서 화학물질관리법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1만1438곳을 점검한 결과 이 가운데 13%인 1486곳에서 화학물질관리법 위반사항을 적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817곳을 고발 조치했으며, 454개 사업장에 과태료 16억8413만원을 부과했다.

위반사업장은 2019년 540곳에서 2021년 351곳으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595곳으로 급증했다.

위반사업장 단속이 가장 많은 곳은 한강청으로 497곳이었으며, 낙동강청 297곳, 금강청 266곳, 대구청 210곳 순이었다.

주요 위반내용으로는 무허가 407건(22.7%), 설치·정기검사 미이행 248건(13.8%), 변경허가(신고) 미이행 189건(10.5%), 관리자 교육 미이수 154건(8.6%), 취급시설 배치·설치 관리기준 미준수 144건(8.0%), 기타 652건(36.3%) 등이었다.

2회 이상 적발된 사업장도 25곳으로 이들 사업장에만 총 1억7473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한편 유해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매년 3만여 건에 달하는 민원이 접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3만8391건 △2020년 3만5568건 △작년에는 3만1915건으로 최근 3년간 매년 3만여 건 이상의 민원이 접수됐다.

민원 10건 중 4건은 유독물질 수입신고 관련으로 총 4만2399건이 접수됐다. 이어 영업허가 민원 2만5556건(24.1%), 관리자 선임 민원 2만1971건(20.8%)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한강청이 총 6만4585건의 민원이 접수돼 전체 민원의 61%를 차지했다. 

이주환 의원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에 대한 상시 점검을 통해 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화학물질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유해화학물질과 관련된 민원만 매년 3만여 건 이상이 접수되는 만큼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 점검하는 등 민원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