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9 17:50:01
  • -
  • +
  • 인쇄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께 '해상풍력발전사업 환경성평가 지침'(이하 평가지침) 등을 분석한 결과, 평가지침 개정 과정에서 산업부가 4년간 진행한 연구 결과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29일 밝혔다.

또 해상풍력특별법 시행 이후에도 입지정보망 구축을 늦추는 등 정부의 풍력발전 산업 진흥 의지와 달리, 제도적 준비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해상풍력 사업은 어업권, 해상보호구역, 철새·해양포유류 서식지 등 주민 생활권과 생태계가 밀집한 연안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환경과 주민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해상풍력 확대로 인한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경성평가 지침이 제대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지난 6월 개정한 평가지침은 4년간의 연구 결과로 도출된 표준평가 지침안의 주요 내용을 거의 반영하지 않았다. 이 표준평가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주하고, 한국환경연구원 주관으로 한국전력공사·해양과학기술원 등 6개 기관이 참여한 '해상풍력단지 해양공간 환경영향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통해 마련된 것이다 .

그러나 올해 평가지침 개정 과정에서 표준평가안의 주요 항목인 △자연환경자산(멸종위기종 등) △대기질·온실가스 △폐기물 △전자기장 △일조 장애 △사회·경제환경 (인구, 산업)등이 모두 누락됐다.

공통 항목으로 제시된 소음, 해양동식물 영향의 조사·저감방안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조류 관련 항목만 극히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됐다.

게다가 '필요시 지역주민, 관광객 등을 대상으로 계량화된 설문·청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는 조항이 개정 과정에서 삭제됐다. 녹색연합은 "해상풍력 단지가 연안·도서 인근에 위치하는 만큼, 주민의견 조사는 사업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절차"라며 "주민 의견조사가 수용성 확보의 핵심 절차임에도 이를 삭제한 것은 명백한 후퇴"라고 비판했다 .

기후에너지환경부는 평가지침 개정 과정에서 사업자 단체인 환경영향평가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에는 의견을 요청했지만, 주요 관련 부서인 해양수산부와 이해관계자인 기후환경단체 등에는 의견을 묻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평가지침의 환경조사·영향·저감방안을 강화하는 환경연구원, 한국환경공단의 의견도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철새 등의 생태를 연구하는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은 어떤 의견도 제출하지 않았다.

부실한 평가지침은 부실한 환경영향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 녹색연합은 "인천 해상풍력 1, 2호기 환경영향평가 초안의 경우 철새와 경관조사 등에서 부실조사가 확인됐다"며 "기후부가 환경영향평가를 엄격하게 심의하고 평가지침을 조속히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해상풍력 입지정보망 구축도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해상풍력특별법'은 멸종위기종 서식지, 철새도래지, 해양포유류 경로, 보호구역 등 환경정보를 통합해 입지정보망을 구축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구축 일정을 내년 8월로 잡았다. 내년 3월 특별법 시행 이후 5개월간 공백이 발생하는 셈이다.

정혜경 의원은 "입지정보망이 늦어지면 환경 부적합 지역에서 사업이 먼저 추진되고 갈등이 불가피하다"며 입지정보망을 내년 3월부터 단계적으로 공개하도록 계획을 변경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