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한복판을 가로질러 흐르는 청계천에 현재 32종에 달하는 물고기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서울시설공단과 공동으로 실시한 담수어류 학술조사에서 청계천에 총 32종 1품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복원 이전에 4종이 서식하는 것에 비해 어류 종수가 8배 늘어난 것이다.
특히 수질이 깨끗하고 산소가 풍부한 여울에서만 서식하는 쉬리 치어가 청계천 상류 구간에서 서식하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비록 청계천 일부 구간이지만 쉬리가 살 수 있을 정도로 서식환경이 개선됐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상류인 청계광장 인근 모전교에서 하류인 중랑천 합류부까지 6개 지점을 대상으로 4월부터 9월까지 세 차례 실시됐다. 어류상 변화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20년간 동일한 곳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총 7목 9과 32종 1품종 6700여 개체를 확인했다. 분류체계에 따라 살펴보면, 잉어목 어류가 23종 1품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망둑어목이 4종이었다. 우점종은 전체 개체수의 약 38.1% 차지한 피라미이며, 아우점종은 참붕어(17.2%), 대륙송사리(12.7%) 등의 순이었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줄납자루, 쉬리, 몰개, 참갈겨니, 얼룩동사리 등 6종, 외래종은 이스라엘잉어, 구피, 배스 등 2종 1품종이었으며, 이 중 인위적 영향으로 유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 어종인 구피 7개체와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인 배스 1개체가 확인됐다.
모전교~마전교에 이르는 상류에서는 쉬리와 버들치, 참갈겨니 등 유속이 빠르고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 적응한 어종이 발견됐다. 황학교~고산자교에 이르는 중류에서는 참붕어, 줄몰개, 모래무지 등 유속이 완만하고 돌과 모래 등 다양한 하상 구조에 적응한 종이 발견됐고, 중랑천 합류부인 하류에서는 대륙송사리, 납지리, 참붕어 등 유속이 느리고 수질에 대한 내성이 있는 종들이 확인되어 지점별로 뚜렷한 생태적 특성이 나타났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이번 조사 성과를 시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서울시설공단과 함께 '청계어록' 청계천 담수어류 공동 학술연구성과 특별전을 마련했다. 이 특별전은 24~30일까지 서울 중구 청계천 광교갤러리에서 열린다. 관람시간은 평일은 오전 10시에서 오후 8시까지이고, 주말은 오후 12시~8시까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