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전면 무상버스'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비수도권 주민 1명이 내뿜는 교통 부문 온실가스는 연평균 2.4톤으로 서울(1.2톤)의 2배 수준이다.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해 승용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다. 연구소는 무상버스를 확대하면 승용차 사용을 줄여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상버스는 주민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효과도 있다. 현재 청송·봉화 등 15개 지자체에서 전면 무상버스를 시행 중이며, 평균 도입 비용은 약 7억3000만원, 주민 1인당 1만5000원 수준이다. 이는 지자체 재정자주도 대비 0.2%에 불과해 재정적 부담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들은 무상버스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요금이 무료여도 노선이 부족하거나 배차 간격이 길면 주민들이 승용차를 계속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노선 확대 △수요응답형 버스 도입 △전기버스 전환 같은 종합적인 교통혁신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
이어 녹색전환연구소는 "전기차 확대만으로는 교통 부문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렵다"며 "무상버스를 교통 혁신과 연계해 지역 교통복지와 기후정의를 동시에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