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지난 8월 18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후위기 인식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89%가 기후위기에 대해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이 중 56%는 '매우 심각'하다고 인식하면서 기후위기가 단순 관심사가 아닌 실질적 위협으로 다가왔음을 보여준다.
이같은 인식 전환은 특정 정책의 효과보다 기후재난의 일상화와 절기를 무시한 날씨 등 환경 변화로 인해 시민들의 전반적인 위기의식이 깊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해서도 90%가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65%는 '매우 필요'하다고 답하며 실질적인 정책적 행동을 촉구하는 여론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도가 최근 추진 중인 기후 관련 정책들에 대한 지지율도 과반을 넘었다.
민선 8기 경기도의 기후정책에 대한 평가는 57%가 긍정했으며, 특히 7세 이상 경기도민이 일상 속에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실천하면, 해당 활동에 대해 지역화폐로 보상하는 '기후행동 기회소득'이 80%,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캠페인 '경기RE100'이 78%, 기후변화로 인한 온열질환 등 건강 피해를 보상해주는 '기후보험'이 74%, 지역 도시, 생태계 변화와 온실가스 농도 등을 관측하는 '기후위성'이 67%로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전국에 확산되길 바라는 정책으로는 경기RE100이 26%로 가장 높았고, 기후행동 기회소득이 21%로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 정책 평가를 넘어, 도민들이 기후변화를 일상적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회적 변화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겠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기후위기에 대한 도민들의 높은 위기의식과 정책적 요구를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했다"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기후위기 대응 정책들이 중앙정부 기후정책의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생성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로 나타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