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학교숙제?..."원자력으로 계산기만 쓰는 격"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6 16:06:36
  • -
  • +
  • 인쇄

인공지능(AI)의 탄소배출량이 모델 및 질문에 따라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 수준에 따라 최대 6배, AI 모델 수준에 따라서는 최대 50배까지도 차이난다는 것이다.

25일(현지시간) 독일 뮌헨대학 연구팀은 14개의 대규모 언어모델(LLM) AI 시스템에 주관식과 객관식 질문을 모두 제시해 시험한 결과, 복잡한 질문은 간결한 질문보다 최대 6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보고했다.

같은 질문에 답할 때도 더 많은 추론능력을 갖춘 '스마트' LLM은 더 간단한 시스템보다 에너지 집약적이고, 탄소배출량도 최대 50배에 이른다. 이를 두고 연구 제1저자인 막시밀리안 다우너 뮌헨대학 박사과정 연구원은 "뇌의 신경망과 비슷하다"며 "뉴런 연결이 많을수록 질문에 답하기 위해 더 많은 생각을 하는 셈"이라고 비유했다.

AI 프롬프트의 각 단어는 '토큰ID'라는 숫자 집합으로 나뉘고, 축구장보다 거대한 데이터센터로 전송된다. 그곳에서 여러 대의 대형컴퓨터가 수십 번의 빠른 계산을 통해 답변을 생성한다. 미국 전력연구소(EPRI)의 추산에 따르면 이 과정에 드는 에너지는 구글검색의 최대 10배에 이른다. 더욱이 데이터센터의 대부분은 화석연료로 가동된다.

또 복잡한 질문의 에너지 소모량이 큰 이유 중 하나는 많은 AI 모델이 설명을 길게 하도록 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연구팀은 AI가 예의를 갖추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사용자가 '부탁드립니다'나 '감사합니다'라고 정중하게 말하면 답변이 더 길어지고, 각 단어를 생성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다우너는 사용자가 AI모델과 소통할 때 답변 길이를 한두 문장으로 제한하거나, 설명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고 명시하는 등 보다 직설적인 답변을 요구할 것을 제안했다.

AI회사 '허깅페이스'(Hugging Face)의 기후책임자 사샤 루치오니는 모든 AI 모델이 동일하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탄소발자국을 줄이려는 사용자는 특정 작업에 맞는 작업별 모델을 선택할 것을 제안했다. 또 가능하면 간단한 작업은 온라인 백과사전이나 계산기 등 기본 도구를 쓸 것을 권장했다.

가령 매일 복잡한 코딩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면 코딩에 적합한 AI 모델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평범한 고등학생이 숙제를 AI에 의존하는 것은 마치 원자력으로 디지털 계산기만 쓰는 격이라고 루치오니는 꼬집었다.

다우너 또한 "같은 업체가 만든 AI여도 모델마다 추론 능력이 다를 수 있다"며 필요에 가장 적합한 기능이 무엇인지 조사할 것을 권했다.

한편 연구팀은 AI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숫자로 나타내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했다. 에너지 소비량이 사용자의 지역 에너지망 접근성과 AI모델 실행에 사용되는 하드웨어에 따라서도 에너지 소비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샤올레이 렌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 전기컴퓨터공학과 조교수는 "많은 AI회사는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정보는커녕 에너지 소비량 추정에 도움이 되는 서버 크기나 최적화 기술과 같은 세부 정보도 공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렌 교수는 "AI가 평균 얼마나 많은 에너지나 물을 소비하는지 단정지을 수 없다"며 각 모델을 개별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짚었다.

다우너는 AI 회사가 투명성을 확보하려면 각 프롬프트와 관련된 탄소 배출량을 공개해야 한다며 "사람들이 AI의 평균 (환경적) 비용을 알게 된다면, '심심하다고 챗GPT에 농담을 해야 할까?'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프론티어스 인 커뮤니케이션'(Frontiers in Communication)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기후/환경

+

두산에너빌리티, 국내 최초 10MW 해상풍력 국제인증 획득

두산에너빌리티는 자사가 개발한 10메가와트(MW) 해상풍력발전기가 국제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형식인증을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

햇빛 이용해 탄소배출 없는 '그린 암모니아' 생산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태양광 시스템을 활용해 폐수 속 오염물질을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

기후변화로 美 북동부 폭풍 '노이스터' 위력 17% 증가

지구온난화로 미국 북동부 지역의 폭풍 위력이 증가하고 있다.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의 기후학자 마이클 만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1940년 이후 올

해변을 지켜야 vs 해변가 집을 지켜야...해수면 상승으로 '딜레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미국 곳곳의 해변이 조금씩 바다에 잠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6세기 로마법에 뿌리를 둔 '공공신탁' 개념이 다시 주목

맥주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병보다 많은 이유

유리병에서 플라스틱병보다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프랑스 식품환경산업안전보건청(ANSES)은 생수, 콜라, 맥주, 와인이 담긴 플라스틱병과

'동토의 북극' 옛말되나?...겨울에 물웅덩이 생기고 새싹 돋아

한겨울에 눈이 뒤덮여있어야 할 북극에서 물웅덩이가 생기고 눈이 녹은 땅위에서 새싹이 돋는 희귀한 광경이 연출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북극의 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