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5년 평균기온 1.5℃ 넘을 확률 70%"...WMO의 섬뜩한 경고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8 16:20:37
  • -
  • +
  • 인쇄
▲5년 안에 '가장 더운 해'가 기록될 가능성이 80%에 달한다.(사진=연합뉴스)

앞으로 5년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1.5℃ 초과할 확률이 70%로 예측됐다. 또 5년안에 지구 평균기온이 2℃를 넘어설 가능성도 처음으로 제시됐다.

28일 세계기상기구(WMO)가 공개한 '지구 10년 기후 업데이트'(GADCU)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 안에 평균기온이 1.5℃를 넘어설 확률이 70%, 역대 가장 더웠던 2024년보다 더 더운 해가 나타날 가능성이 80%로 내다봤다. 2024년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보다 1.55℃ 높았다.

GADCU 보고서는 WMO 선도센터인 영국 기상청이 향후 10년간 기후를 예측해 매년 작성한다. 올해는 한국 기상청을 포함한 14개 기관의 예측자료가 분석에 사용됐다.

또 같은 기간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가 1.5℃ 넘어서는 해가 나타날 확률도 86%로 예측됐다. 1.5℃를 넘어설 확률은 2022년 48%에서 2023년 66%, 지난해 80%까지 치솟았다. 지구 평균온도 1.5℃는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전세계가 합의한 기후임계점이다. 이를 넘어서면 이전의 지구 상태로 회복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 된다는 기후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향후 5년안에 지구 평균기온이 2℃를 넘어설 수 있다는 가능성도 1%로 희박하지만 처음 제시됐다. 북극 지역 기후변화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5년동안 북극 겨울철 평균기온은 2.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는데, 이는 전 지구 평균 상승폭보다 3.5배 높은 수치다. 2025~2029년 3월 사이 베링해와 바렌츠해, 오호츠크해 등에서는 해빙 면적이 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한해 평균온도나 5년간 평균온도가 1.5℃를 '일시적'으로 넘는다고 파리협정이 실패한 것은 아니다. WMO는 "1.5℃를 넘기는 해가 있더라도 20년 평균 장기 온난화 수준은 1.44℃로 1.5℃ 밑을 유지할 것이며, 이는 아직 회복할 수 있는 희망이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전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이 지금같은 추세를 이어가면 잠시 1.5℃를 초과하는 사례가 더 빈번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코 배럿 WMO 사무차장은 "우리는 기록상 가장 더운 최근 10년을 경험했고, 이번 WMO 보고서는 향후 몇 년간 이 추세가 지속될 것임을 제시했다"며 "지속적인 기후 모니터링과 예측을 통해 의사결정권자들에게 과학에 기반한 도구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전국 226개 시군구, 첫 탄소중립 계획 수립…감축사업 본격화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가 모두 탄소중립 실천전략을 담은 '제1차 시군구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해 5월 30일까지 환경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에 SK E&S 추형욱 대표 선임

SK이노베이션이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는 장용호 SK(주)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됐다.SK이

"탄소중립 정책, 韓 규제 중심인데 美日은 성장지향형 전략"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미국과 일본은 탄소감축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이제 탄소중립을 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SK이노베이션 '탄소저감' 기술 스타트업 10곳 선발

SK이노베이션이 '탄소저감'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10곳을 선발했다.SK이노베이션은 환경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에그' 5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기후/환경

+

하와이 산호초까지 위험하다...기후변화와 성게 급증이 원인

하와이 산호초들이 파괴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가득이나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데 급증한 성게의 먹잇감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28일(현지시간) 켈리 반

AI가 제작한 국내 '홍수 위험지도'...침수위험 높은 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의외로 홍수에 취약한 지역인 것으로 인공지능(AI) 분석에서 나왔다.포항공과대학교(POSTECH)와 경북대학교가 인공지능(AI)을 통

EU '2030 55% 감축' 목표 근접…2040년까지 90% 줄인다

유럽연합(EU)이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를 55% 감축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2040년까지 90% 감축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EU집행

수출입銀-무역보험공사, 모잠비크 가스전 투자 '급제동'?

모잠비크 시민단체와 한국 청년활동가들이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가 투자 검토하고 있는 해외 가스전을 상대로 가처분을 제기했다. 이

[영상] 우려가 현실로...빙하 사라진 스위스 마을 산사태로 매몰

기후변화로 빙하가 녹아버린 스위스의 한 산간마을이 산사태로 묻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스위스 발레주 블라텐 마을에 대규모 산사

정부, 몽골에서 탄소감축권 확보...게르지역 대기질 개선사업 추진

우리 정부가 몽골지역에서 탄소감축 사업을 추진한 대가로 탄소감축권을 확보하게 됐다.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글로벌 넷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