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3 19:16:11
  • -
  • +
  • 인쇄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m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해마다 해수면 상승률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 해수면·빙하연구팀 소속 과학자 벤저민 해밍턴은 "다른 기후 신호는 변동하는 반면 해수면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해수면은 2050년까지 전세계 약 15cm, 미국에서 최대 25~30cm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2050년 이후에는 얼마나 상승하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디르크 노츠 독일 함부르크대학 해빙학자는 "2100년까지 해수면이 90cm 더 상승할 수 있다"면서 "가장 큰 의문은 '얼마나 빨리 증가할 것인가'다"라고 말했다.

가장 불확실성이 큰 것은 빙하다. 지구온난화에 빙하가 얼마나 빨리 반응할지, 꾸준히 녹을지, 아니면 임계점에 도달해 급격히 붕괴될지 전혀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노츠 박사는 남극대륙을 '방 안의 코끼리'이자 '깨어나는 거인'에 비유하며 "남극에는 전세계 해수면이 59m미터나 상승할 만큼의 물이 담겨있다"면서 "깨어나기까지 오랜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깨어나면 다시 잠들게 하기가 정말 정말 어렵다"고 했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 침식을 앞당기고, 하수시스템을 마비시키며, 염분을 지하담수 공급원에 유입시킨다. 이미 여러 해안지역 및 저지대 섬나라들은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 위기에 처해있다. 미국 걸프 해안은 석유·가스·지하수 채굴까지 더해 대부분의 땅이 가라앉고 있다. 루이지애나주는 해수면 상승에 육지까지 빠르게 가라앉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토지 손실률을 보이고 있다.

일부 지역의 해수면 상승 속도는 전세계 평균의 약 4배에 달한다. 태평양 섬나라는 해수면 상승의 가장 큰 피해자로 국가 존속에까지 위협을 받고 있다. NASA는 앞으로 30년동안 투발루, 키리바시, 피지 등의 섬나라는 해수면이 최소 약 16cm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안홍수도 증가하고 있다. 윌리엄 스윗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해양학자는 만조 홍수가 1990년 이후 대부분의 미국 대서양 및 멕시코만 해안에서 2~3배 자주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후단체 '350.org'의 피지 활동가 조지 나세와는 "피지의 마을 전체가 공식적으로 이전됐다"며 "밀물이 도로를 덮치고 농작물이 침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수면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면 "적응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언제나 그렇듯 가장 큰 피해를 받는 사람들은 가장 취약한 계층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세계 여러 지역이 해수면 상승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대학의 니콜스 박사는 "해수면 상승은 과소평가된 문제"라며 "몇 인치만 상승해도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이어 그는 "우리가 대처해야 할 해수면 상승은 미래 세대가 직면해야 할 것에 비하면 훨씬 작다"며 "진짜 재앙은 문제를 일으킨 사람들이 더 이상 세상에 없을 때 닥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천리 70년' 나눔과 봉사 실천..."사랑받는 기업으로 거듭날 것"

올해로 창립 70주년을 맞은 삼천리는 지역사회 곳곳에서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게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면서 나눔상생을 실천하고 있다.20일 삼

네이버, 2024년 재생에너지 사용 통해 온실가스 9144톤 감축

네이버가 지난해 탄소배출량을 3만925톤(tCO2eq) 절감하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가 9144톤에 달했다.네이버는 20일 발간한 '2024 통합보

사외이사 안건 찬성률 95.3%...상장사 이사회는 '거수기'로 전락?

사외이사 이사회 안건 찬성률이 95.3%에 달하는 등 올 상반기 국내 상장사들의 이사회 기능과 감사 독립성이 전반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기원의 ESG인사이드] 보여주기식 'ESG공시' 벗어나려면?

ESG 공시는 더이상 선택이 아니다. 지속가능성 정보가 자본과 규제의 흐름을 결정짓는 시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수준을 점검하고 공시 역량을 평가

노동자 사망사고·압수수색 이후...SPC '컴플라이언스 위원회' 출범

노동자 끼임 사망 사고로 압수수색을 받았던 SPC그룹이 윤리·준법 체계를 감독하는 상설독립기구인 'SPC 컴플라이언스 위원회'를 구성하고 19일 출

틱톡, 광고 제작과정 탄소배출까지 체크한다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이 송출되는 광고는 물론, 해당 광고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까지 측정한다.16일 틱톡에 따르면, 플랫폼 내 광고 캠

기후/환경

+

비 오면 벽체 내려앉아...세계문화유산 무령왕릉 5호분 보존처리 시급

단시간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극한호우'가 이어지는 가운데 공주 무령왕릉 5호분이 장마철 등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 토양에 수분이 증가하면서 벽체

지구 기온 4℃ 오르면...2100년 식량 생산량 절반으로 '뚝'

지구온난화로 인해 2100년에 이르면 식량 생산량이 절반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솔로몬 샹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연구팀은 지구 평균기온

항공권에 '비행세' 부과하면...기후기금 167조원 확보 가능

항공권에 '비행세'를 부과하면 기후피해 회복기금으로 연간 1060억유로, 우리돈 167조2000억원 이상을 모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19일(현지시간)

올해도 미국은 '열돔'에 갇혔다...다음주까지 폭염 시달려

올해도 미국의 폭염은 더 뜨겁고 길어질 전망이다. 19일(현지시간) 미국 기상청(NWS)에 따르면 이번 주말 중서부에서 동부 연안에 이르는 지역에 열돔 현

환경공익사업 지원금을 로비에 활용?...EU, NGO 자금조사 착수

환경 등 공익사업을 수행하라고 지급된 유럽연합(EU)의 보조금이 NGO들의 정치적 로비에 활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EU가 자금 흐름을 들여다보

퍼붓다 그쳤다 반복...수도권 '국지성 폭우'로 피해 속출

인천 등 수도권 곳곳에 강한 비가 쏟아졌다 그쳤다는 반복하는 국지성 호우로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기상청은 일부 지역을 제외한 인천 전역과 경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