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안줄이면 '인공위성' 제대로 못뜬다...이유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1 09:50:37
  • -
  • +
  • 인쇄
▲지구 주위의 우주 쓰레기 (사진=유럽우주기구(ESA))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증가하면 2100년까지 운영가능한 인공위성 수가 현재보다 최대 66%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1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리처드 리나레스 교수팀은 온실가스 고배출 시나리오(SSP5-8.5) 발생시 지구궤도 밀도변화 등으로 인공위성 수용능력이 50~66%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대기 중 온실가스량이 증가하면 태양에서 오는 적외선 복사가 우주로 반사되면서 냉각 및 수축 효과를 발생, 지구 상층 대기(50~85㎞의 중간권과 85~600㎞의 열권)가 수축할 수 있다.

상층 대기가 수축하면 지구 궤도 공간의 밀도가 감소, 마찰이 줄어 위성과 쓰레기가 궤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며, 이 경우 궤도 위 위성과 쓰레기가 증가해 지구 궤도의 장기적 활용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

연구팀은 대기 모델링을 사용해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SSP1-2.6 ,SSP2-4.5 ,SSP5-8.5) 하에서 2100년까지 지구 궤도를 안정적으로 돌 수 있는 인공위성의 수를 추정했다.

SSP5-8.5는 고탄소 경제가 계속돼 2100년까지 기온이 4.3℃ 이상 상승하는 시나리오이며, SPS2-4.5는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의 부분적 균형으로 기온이 2.7℃ 정도 상승하고, SSP1-2.6은 지속 가능성에 기반한 저탄소 경제로 기온 상승이 1.8℃ 이내로 억제되는 시나리오다.

분석 결과 배출량이 가장 많은 SSP5-8.5 시나리오의 경우 지구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태양 활동에 따라 2100년까지 저지구 궤도(200~1000㎞)에서 운영가능한 최대 위성 수가 현재보다 50~6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공위성 수가 2500만~4000만개 줄어드는 셈이다.

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중간~가장 높은 시나리오(SSP2-4.5와 SSP5-8.5)에서는 대기와의 마찰로 궤도에서 이탈해 지구로 낙하하는 위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성은 물론 우주쓰레기가 궤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위성 간 또는 위성과 우주 쓰레기 간 충돌 위험이 커지는 것을 뜻한다.

연구팀은 충돌 위험을 줄이기 위한 능동적 궤도 이탈 기술이 고려되고 있지만, 온실가스 배출을 완화하는 것이 지구기후뿐만 아니라 우주공간에 대한 접근과 이용을 보장하는 데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리나레스 교수는 "우주에서 광대역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한 위성 발사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를 신중하게 관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우주가 너무 혼잡해져 더 많은 충돌과 파편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속가능성'(Nature Sustainabilit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참치' 늘고 '오징어' 줄고...뜨거워진 동해안 어종 바뀌고 있다

동해안은 전세계 연안에 비해 수온이 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탓에 어종도 바뀌고 있다.연일 35℃가 넘는 폭염이 한창인 10일 오후 3시 동해안의 수온

"기후에너지부 제대로 작동하려면 기후재정 혁신해야"

정부가 기후예산을 재설계하지 않고 기후에너지부를 개편하는 것만으로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10일 기후재정포럼

'불판'으로 변한 지구…40℃ 폭염이 일상화 되려나

지구촌 곳곳이 '불판'처럼 달아오르고 있다. 아직 한여름이 시작되지 않았는데 유럽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한낮 기온이 40℃를 넘나들고 있다. 지

수백명 희생된 美 텍사스주 대홍수 나흘만에 뉴멕시코도 '홍수'

미국 텍사스주에서 대홍수 참사가 발생한지 나흘만에 이번에 뉴멕시코주에서 홍수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9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

'온열질환자' 하루새 200명 발생…'살인폭염' 언제까지?

수도권 낮 최고기온이 40℃가 넘는 등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하루 사이에 온열질환자가 200명 넘게 발생했다. 문제는 이같은 더위가 한동안 계

산불 발생한 강 유역 오염도 103배...오염 8년간 지속된다

폭염으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산불이 발생한 지역은 산불 재로 인해 수자원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8일(현지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