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엇 이어 블리자드까지…전세계 게임업계 구조조정 '칼바람'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6 10:33:30
  • -
  • +
  • 인쇄
▲마이크로소프트가 게임사업부에서 1900명을 정리해고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 팬데믹이 종식되면서 전세계 게임업계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26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액티비전 블리자드, 베데스다 및 엑스박스 등 산하 게임조직 내에서 1900명의 정리해고를 예고했다. 이번 대규모 해고는 MS가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한 후 3개월만에 내린 조치다.

필 스펜터 MS 엑스박스 게이밍 총괄 부사장은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조직개편의 일환으로 블리자드의 큰 프로젝트 중 하나를 취소했으며 게임사업부 2만2000명의 9%에 해당하는 1900명을 해고한다"며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이어 "우리는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중복되는 부분을 확인했다"며 "우리의 성장을 위한 최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크 이바라 블리자드 CEO도 개인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블리자드와 MS에서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구조조정에 대해 업계에서는 대형 인수 직후인 만큼 "예견된 구조조정"이라는 시각도 있다. 다만 지난해부터 게임업계 해고 바람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업계 종사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 22일에는 전세계적인 인기를 끄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개발사 라이엇게임즈가 전직원 11%인 530명을 해고했다. 딜런 자데자 라이엇게임즈 CEO는 "지난 몇 년동안 인원이 2배 이상 증가했지만, 역으로 플레이어에게 필요한 것을 결정하는 능력의 날카로움을 잃었다"며 구조조정 이유를 밝혔다.

미국 게임 개발엔진 기업 '유니티'도 올 1분기 내에 전체 직원 25% 수준인 1800명을 해고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포트나이트'를 개발한 에픽게임즈는 지난해 9월 870여명을 감원했다.

국내 시장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팬데믹 기간동안 규모가 불어났던 게임시장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국내 게임사 실적이 대부분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년 사이에 영업이익과 주가 모두 급감한 엔씨소프트는 자회사 '엔트리브소프트'를 오는 2월 폐업하기로 했다. 이로인해 운영중이던 '트릭스터M', '프로야구H2' 등 모바일 게임도 서비스 종료된다. 엔씨 관계자는 "미래 도약을 목표로 선택과 집중에 기반한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자사 지적재산(IP)을 활용해 신작 PC게임을 제작하던 '아이온 리메이크 TF'를 해체하기도 했다.

컴투스는 최근 경영 효율화를 이유로 개발사 대상 두 자릿수 규모 권고사직을 진행 중이다. 또 지난해 9월에는 메타버스 시장 불황에 130여명 규모의 계열사 '컴투버스'를 구조조정한 바 있다.

넷마블 역시 차기 지적재산(IP)로 내세울 메타버스 플랫폼 '그랜드크로스:메타월드'를 준비하던 손자회사 '메타버스월드'를 법인 종료하며 전체 직원 70여명에 해고를 통보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팬데믹 종식으로 야외활동과 숏폼 미디어가 부상하면서 게임 플레이 시간을 단축시켰다"며 "여기에 경기침체가 겹치면서 소비자들의 과금이 줄어들었고 역으로 과도하게 불어난 개발자 인건비에 의해 게임업계 전체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상황을 돌파하고자 주요 게임사들은 지난해부터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기후/환경

+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목표만 있고 시간표는 없는 NDC...연도별 감축 로드맵 의무화해야"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모두 연도별 감축경로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

AI로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 찾아준다

인공지능(AI)이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을 찾아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1.5°C 목표 실패...아마존이 사바나될 것"...유엔 사무총장의 경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지난 2015년 파리에서 전세계 정상들이 모여 합의한 '지구평균기온 1.5℃ 억제하자'는 목표는 이미 실패로 돌아갔다는 판단이

기후변화로 해양자본 갈수록 훼손...WEF "해양경제 붕괴 막아야"

세계경제포럼(WEF)이 기후변화와 오염으로 해양경제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경고했다.27일(현지시간) WEF가 공개한 보고서 '해양경제가 지속가능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