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다수 기업인들의 지난해말부터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156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이 바라본 2024 경영·경제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0.1%는 경제회복 시점을 '2025년부터'라고 답했다. '올 하반기부터'라고 응답한 비율도 34.2%에 달했고, '2026년 이후'라는 응답자는 16.9%로 나타났다. 반면 '올 상반기' 또는 '이미 회복국면'이라고 답한 비율은 8.8%에 그쳤다.
기업들이 본격 경기회복 시점을 내년으로 전망하는 것에 대해 상의는 "고물가와 고금리 여파가 여전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기업 대출금리가 5%대를 돌파한 이후 고금리가 지속되고 있으며, 8차례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작년 하반기에 오히려 대출금리가 상승흐름을 보였다.
또 11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하락(-0.4%)했으나 상승이 본격화되기 전인 2021년 초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불안정한 국제정세로 인해 국제유가 급등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불안요인으로 작용했다.
올해 경영전략에 대해서는 '성장'보다 '안정'에 방점을 두고 경기회복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성장전략'을 선택한 기업은 35%로 '축소화 전략'을 택한 9.5%보다 3배 이상 많았지만, '안정전략'을 택한 기업이 55.5%로 가장 많았다.
매출, 수출, 투자 등 구체적인 경영실적에 대해서도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아 기업들이 관망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의견을 뒷받침했다. 수출의 경우 '동일 수준'을 전망한 기업이 44.3%로 가장 많았고, '증가'를 꼽은 기업이 27.7%, '감소'를 꼽은 기업이 28%로 비슷했다.
투자도 '동일 수준'이 46.4%, '감소'가 29.5%, '증가'가 24.1%였다. 매출은 작년과 비교해 '증가' 34.5%, '동일 수준' 31.5%, '감소' 34%로 응답해 구간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올해 가장 큰 경영리스크로 '고원자재가·고유가'가 51.1%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고금리 등 자금조달부담'이 46.6%였고 '인력수급 및 노사갈등'이 21.6%, '수출부진 장기화'가 20%, '전쟁 등 돌발이슈' 14.2% 등의 순이었다.
또 경제회복을 위한 핵심 정책과제로는 '물가관리 및 금리정상화'를 71%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기업부담규제 완화' 31.2%, '수출경쟁력 강화' 27%, '노동시장 개혁' 21.7%, '미중갈등 등 대외위험 관리' 19.8%, '국가전략산업 지원 확대' 11.9% 등 순으로 응답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지난해 말부터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이를 체감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위기를 혁신의 동력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모두 고물가·고금리 등 당면한 위험요인에 대비하고 신산업분야 투자 및 지원을 통해 장기적으로 잠재력을 확보해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