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9 개최국 아제르바이잔...석유·가스 생산확대에 '빈축'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9 15:42:46
  • -
  • +
  • 인쇄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올 11월 개최되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 개최국인 아제르바이잔의 화석연료 연간 생산량이 10년 후 지금보다 30%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반빈곤 비정부기구 글로벌 위트니스(Global Witness)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의 가스 생산량은 올해 약 370억입방미터(37bn cubic metres)에서 2033년 490억입방미터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0년 사이에 32.4% 증가하는 것이다. 이 기간동안 매년 가스 생산량을 약 120억입방미터씩 늘릴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은 아제르바이잔의 화석연료 생산량은 현재 생산하고 있는 가스량과 개발승인된 매장량, 탐사됐지만 아직 개발허가를 받지않은 매장량 등을 토대로 했다. 시추를 통해 아직 입증되지 않은 가스 매장량은 이번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아제르바이잔은 카스피해에 세계 최대 가스전 중 하나인 샤 데니즈(Shah Deniz)를 소유하고 있다. 이 가스전에서 향후 10년간 총 4110억입방미터의 가스를 추출할 계획이다. 이는 총 7억8100만톤의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는 영국의 연간 탄소배출량의 2배가 넘는 수치다.

글로벌 위트니스는 "이번 분석에서 잠재적인 생산량과 천연가스 채굴시 부산물로 생산되는 가스 콘덴세이트의 생산량은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이 수치까지 모두 포함하면 아제르바이잔의 화석연료 생산량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화석연료 확대를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 최근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2027년까지 유럽 가스 수출을 2배 늘리겠다는 목표를 향해 자신있게 나아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우-러 전쟁 이후 유럽 국가들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이 힘들어지면서, 아제르바이잔이 이 틈을 비집고 들어가려고 하고 있다.

게다가 아제르바이잔은 화석연료 수익금으로 분쟁지역에 군사침략을 획책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이 소유하고 BP가 운영하는 석유·가스전에서 나온 자금이 아제르바이잔이 아르메니아인을 침공하는데 쓰였다는 것이다. 글로벌 위트니스는 "해당 석유·가스전에서 나온 수익은 2020년 이후 아제르바이잔 군사비 지출의 약 4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아제르바이잔은 COP29 의장으로 화석연료기업에서 고위직을 거친 무크타르 바바예프(Mukhtar Babayev) 아제르바이잔 생태부 장관을 임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COP28에 이어 또다시 화석연료 관계자가 기후총회를 주관하는 것이냐"며 반발하고 있다.

도미닉 이글턴(Dominic Eagleton) 글로벌 위트니스 이사는 "기후붕괴를 향해 달려가는 지금, 우리는 석유 대기업의 지원을 받으며 가스 생산량을 크게 늘리고 있는 아제르바이잔의 손에 우리의 미래를 맡기라는 요청을 받고 있다"며 "세계를 석유와 가스에 계속 묶어두려는 국가가 아닌 진정한 기후리더들이 기후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에어컨 물도 다시"...LG화학 리사이클 공모전서 초등학생 최우수상

한 초등학생이 에어컨 물을 재활용하는 아이디어로 리사이클 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LG화학은 지난 8월 주최한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

[최남수의 ESG풍향계] '아리셀' 판결이 던진 과제

지난해 6월에 발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에 대한 1심 재판 결과가 지난 9월 23일에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위반한 이 회사

기후/환경

+

북극이 녹색으로..."기후변화로 지구 최북단에 녹지 생겨"

새하얀 북극이 기후변화로 인해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지구의 최북단인 북그린란드 북위 82도에서 급격히 진행 중인 녹화 현상과 토양

[COP30] 고함치고 격렬한 몸싸움...원주민 시위대와 경비원 충돌

유엔 기후총회에서 원주민과 비정부기구(NGO)로 구성된 시위대와 경비원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했다.12일 AP, AFP,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밤(

[COP30] "트럼프는 침입종"...美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직격

차기 미국 민주당 대권주자로 유력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

이산화탄소를 돈되는 화학물질로 바꾸는 초저전압 시스템 개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포름산'으로 바꿀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와 에너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날씨] '수능한파' 없다...15℃ 안팎 심한 일교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 예비 소집일인 12일과 수능일인 13일은 춥지 않지만 일교차가 15℃ 안팎으로 크겠다. 아침에는 쌀쌀하지만 낮에는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