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로드킬' 1년새 72% 증가...국립공원도 안전지대 아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0-10 15:57:54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찻길 사고로 죽은 동물 6만3989마리 가운데 국립공원에서 로드킬로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이 350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 다수 포함돼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14일 국토교통부와 국립생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동물 로드킬 사고는 15만4566건에 달했다. 게다가 로드킬 사고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지난해는 전년대비 71.7% 급증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국립공원공단으로부터 제출받아 지난 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립공원에서 로드킬로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은 최근 5년간 2013마리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383건, 2019년 462건, 2020년 294건, 2021년 322건, 2022년 350건으로 줄어들지 않고 있다. 올 8월까지 집계된 로드킬 건수도 202건으로, 지난해의 73%가 넘었다.

문제는 법정보호종들이 로드킬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법정보호종 로드킬 사고는 591건으로 전년의 425건보다 늘었다. 멸종위기 1급이 삵이 330건으로 가장 피해가 많았고, 멸종위기 1급인 수달과 2급인 수리부엉이도 각각 148건, 29건에 달했다. 팔색조와 남생이, 산양도 로드킬을 당한 사례도 나왔다. 동물들의 울타리 역할을 해주고 있는 국립공원 내에서도 수달과 담비같은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 로드킬 당하는 사례도 지난 2021년에만 46건이 있었다. 

동물들의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서는 야생동물 유도울타리나 이동통로를 설치해줘야 하지만 정부의 늑장대응으로 관련 시설이 태부족인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로드킬 발생 상위 80개 도로 구간에 이같은 시설을 설치하겠다고 했지만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공원의 상황도 비슷하다. 전국 21개 국립공원 가운데 생태통로가 있는 곳은 8개소에 불과했다. 더욱이 전체 찻길사고의 약 40%에 달하는 395건이 생태통로가 없는 내장산 등 13개 공원에서 발생했다. 국립공원 중 로드킬이 2번째로 많은 '한려해상공원'에는 안내표지판 6개만 설치돼 있으며, 45건의 로드킬이 있었던 '다도해공원'에는 과속방지턱만 있다.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은 "우리에게는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에 대한 구조와 보호 의무가 있다"며 "생태탐방로 등 인간의 행위로부터 야생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색깔로 위험인지'...CJ제일제당, 안전예방 위해 '색채 디자인' 적용

CJ제일제당이 안전한 일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지난 3일 서울 서초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환경

+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