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리스크와 밀접하면서도 더 다면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공개하는 기후공시에 이어 생태계 파괴에 따른 금융리스크를 공개하는 '자연공시'가 본격화할 조짐이다.
18일(현지시간) 생물다양성 관련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인 '자연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NFD,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자연관련 리스크 관리 및 공시' 최종 권고안을 공개했다.
이번 권고안은 블랙록, UBS그룹 AG, HSBC 등 자산규모 20조달러 기업들을 대표하는 40명의 TNFD 위원들이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자금이 흐를 수 있도록 2년간 착수해 만들었다.
최근 기후위기에 따른 생태계 파괴가 기업활동에도 심대한 악영향을 끼치면서 재무적인 리스크로 이어지고 있다.
S&P글로벌 1200대 기업 가운데 85%가 생태계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고, 세계은행(WB)이 2030년 생물다양성 감소로 인한 예상 손실액을 2조7000억달러로 분석하면서 자원과 생태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이익을 나타내는 '자연자본'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할 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NFD의 '자연관련 리스크 관리 및 공시'에는 자연자본을 '생물, 물·토양·공기, 광물' 등 3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또 △지배구조 △경영전략 △위험관리 △평가지표 및 목표 설정 등 4개 핵심주제 아래 14가지 세부 공시항목 권고사항을 담고 있다. 자연관련 리스크를 회계의 영역으로 들여 기존 금융공시와 같은 방식으로 공개될 수 있도록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와 글로벌보고이니셔티브(GRI) 기준을 따르고 있다.
자연관련 리스크와 기후리스크는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일례로 산불은 온난화로 인해 발화점이 높아진 탓에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기후리스크이지만, 동시에 토양침식이나 물 수급량과도 연관이 있는 자연관련 리스크이기도 하다. 이에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는 공시 플랫폼을 TNFD와 연동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2024년부터 TNFD의 권고안을 시스템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기후공시와 달리 자연공시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처럼 명확하게 계량화할 수 있는 부분이 적다. 육지와 해양환경까지 다양한 기업활동에 따라 일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그만큼 자연자본의 리스크가 기후리스크보다 다면적이고, 경제적 영향과 재무적 불안정성이 더 급격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문가들이 입을 모으고 있어 오는 2024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주요 의제로 부상할 전망이다.
엘리자베스 므레마 TNFD 공동의장은 "생태계 파괴가 기업에 물리적인 위해를 가하면서 자연관련 리스크는 곧 금융리스크로 나타나고 있어 '통상경영'(BAU)은 더는 선택지가 될 수 없다"며 "자연과 생물다양성 문제는 단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으로만 간주되는 주변적인 차원을 벗어나 이제는 정면에서 전략적 위험관리의 중심 현안으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