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단계적으로 퇴출되나?...'국제플라스틱 협약초안' 공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6 10:36:02
  • -
  • +
  • 인쇄
11월 케냐서 열리는 3차 회의서 논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금지도 담길 듯
▲쌓여있는 플라스틱 폐기물 (사진=연합뉴스)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 204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을 감축하자는 내용을 담은 '국제플라스틱 협약초안'(Zero Draft)이 발표됐다.

유엔환경총회(UNEP)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협약초안을 4일(현지시간) 국제플라스틱협약 정부간 협상위원회(INC) 의장과 함께 공개했다.

협약초안의 주요 내용은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제적 차원에서 플라스틱 생산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생애 모든 주기를 규제하고 관리하는 규칙을 담고 있다. 이 초안은 오는 11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리는 제3차 INC에서 구체적인 규칙이 결정되고, 2024년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제5차 INC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초안에는 '각국이 플라스틱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플라스틱 오염의 예방, 점진적 감소 및 제거를 목표로 삼아야 하고 이러한 접근방식이 플라스틱 수명주기의 모든 부분을 포괄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비록 초안에서는 정확한 목표 수치가 제시돼 있지 않지만 유해한 화학물질과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을 신속하고 단계적으로 퇴출해 절대 생산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등 '수명이 짧은' 고위험 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사용금지하는 것도 언급돼 있다.

또 초안은 국가별 현재의 오염 및 생산수준, 경제력 등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협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국가계획을 발표하고 실행하며 실제 진행상황을 정기적으로 공개하도록 했다. 국가계획에는 플라스틱의 단계적 퇴출, 인체 건강보호, 제품설계 및 성능요건 최신화, 재사용 모델 확대 조치, 폐플라스틱 어구 관리에 대한 세부사항 및 기존 플라스틱 오염정화 계획 등도 포함해야 한다.

여기에 더해 국가계획에는 일부 일자리 손실 등 플라스틱 생산을 줄이는 것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도 담겨 있어야 한다. 실제로 국제적으로 플라스틱 생산감축이 실행되면 우리 산업에 미치는 파장은 클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중국, 미국, 독일, 인도에 이어 '플라스틱 생산량 5위국'으로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수출실적을 보면 국내 중소기업 수출품목 1위가 6조6500억원을 기록한 플라스틱 제품인 만큼 플라스틱 규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그동안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생산과 사용절감을 놓고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렸다. 올 6월 프랑스 파리서 개최됐던 제2차 INC 회의에서 유럽연합(EU)과 르완다, 노르웨이, 뉴질랜드 등은 플라스틱 오염종식을 위한 방안으로 생산감축과 재활용을 포함한 폐기물 처리에 중점을 두자고 주장한 반면, 한국과 중국, 미국, 인도 등은 생산감축보다 화학적 재활용-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폐기물 관리에 초점을 두자는 입장이었다.

그레이엄 포브스 그린피스 미국 플라스틱 캠페인 리더는 "이번에 발표된 국제플라스틱 협약초안에 플라스틱 생산과 사용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항이 포함됐다"면서도 "플라스틱 생산량을 최소 75% 절감하는 강력한 플라스틱 협약이 체결되어야 궁극적으로 플라스틱 오염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KB국민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도움드림창구' 운영한다

KB국민은행이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도움드림창구'를 새롭게 운영한다.KB국민은행은 65세 이상 고령자와 장애인은 물론 7세 이하 자녀를 동반한 보호자

기후/환경

+

잠든 새벽에 내린 200㎜ 폭우...가평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모두가 잠든 20일 새벽에 2시간동안 내린 집중호우가 경기도 가평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이날 가평군에는 시간당 76㎜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다. 가평

순식간에 물바다 만든 '괴물폭우'...5일간 전국 휩쓸며 '초토화'

닷새동안 이어진 전례없는 '극한호우'에 전국이 쑥대밭이 되면서 많은 사상자와 피해가 발생했다.지난 16일부터 20일 오후 5시까지 지역별로 내린 누적

[날씨] 폭우 그치자 '폭염' 시작...곳곳에 소나기도 빈번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퍼붓던 폭우가 물러가면서 폭염이 또다시 덮칠 예정이다.월요일인 21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체감온도가 33℃ 이상으로 치솟

산불 휩쓴 산청...600㎜ 넘는 물폭탄에 곳곳 산사태

올봄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남 산청군에 이번에 600㎜가 넘는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산불로 회복되지 못한 산림이 폭우에 깎여 곳곳에 산사태가 발

농경지 1만3000ha 침수 피해…'극한호우'에 밥상물가도 '비상'

한달치 비가 하루에 쏟아지는 '극한호우'로 전국의 농경지 1만3000헥타르(ha)가 침수되면서 농산물 가격폭등이 예상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브라질 의회 '환경허가 완화법' 의결..."환경규제 사실상 붕괴"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는 브라질에서 환경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환경허가 완화법'이 의회를 통과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법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