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토양·생물다양성 대부분 '위험수준'
지구가 더 이상 사람에게 안전하지 않은 상태라는 진단이 나왔다.
31일(현지시간) 국제과학자네트워크 '지구위원회'( Earth Commission)가 기후위기가 인체 건강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처음으로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으로 이름지어진 8개 지표로 정량화시켜 측정해본 결과, 8개 지표 가운데 7개가 이미 한계를 넘어선 위험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지표는 기후, 생물다양성, 물 이용, 생태계 면적, 토지 이용, 비료(질소·인산) 및 에어로졸 영향 등이다. 이 8개 지표는 기존 '지구위험 한계선'을 확대한 것이다. '지구위험 한계선'은 지구 스스로의 회복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은 인체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포괄한다.
지표 | 현황 |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 |
산업화 이전 대비 전세계 평균기온 상승폭 | 1.2℃ | 1.0℃ |
인간에 의해 20% 이상 흐름이 변경된 하천의 면적 | 34% | 0% |
지하수 보충량보다 추출량이 더 많은 하천유역 | 47% | 0% |
거의 훼손되지 않은 상태의 자연생태계가 덮고 있는 면적 | 45~50% | 50~60% |
1㎢마다 20% 이상이 반(半)자연적인 서식지인 도시 및 농경지 면적 | 36% | 100% |
농업 잉여질소량(질소유입량-질소유출량) | 1억1900만톤 | 5700만톤 |
농업 잉여인산량(인산유입량-인산유출량) | 1000만톤 | 450만~900만톤 |
에어로졸 오염물질 농도 | 0.05 | 0.15 |
측정결과, 8개 지표 가운데 한계선을 넘지 않은 것은 '에어로졸 오염물질 농도' 뿐이다. 논문의 공동저자이자 '지구위험 한계선'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요한 록스트롬 독일 포츠담대학교 환경과학 교수는 "극단적인 기후는 거주지 이전, 식량안보, 수질악화를 유발해 사람들의 생계를 직접 위협할 뿐 아니라 국가간 분쟁으로도 이어지고 있다"며 "지구가 그 어느 때보다 연약한 처지에 놓여있어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표는 사람들의 안전과 공정성을 해치지 않는 기온상승폭 한계치를 1℃로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지구 평균기온은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1℃ 이상 오른 상태다. 지금 추세로 지구온도가 스스로 회복 불가능한 1.5℃까지 오르면 전세계 2억명이 해마다 전례없는 이상고온으로 고통받고, 5억명이 해수면 상승 등으로 직접 피해를 입게 된다.
농경지는 질소와 화학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해 심각한 수질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이 인근 식수원을 뒤덮으면서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연구진은 "지표가 제시한 한계선을 넘지 않으려면 현재 비료 사용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문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기후 문제를 사회정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자산 상위 1%가 내뿜은 탄소배출량은 하위 50%의 2배에 달하고 있고, 이로 인해 사회 각 분야에 연쇄적으로 문제들이 불거지면서 책임이 적은 쪽이 더 많은 피해를 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문의 공동저자로 참여한 호주국립대학교의 바이쉐메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수요와 영향에 대해 숫자를 붙임으로써 지구를 보호하는 일이 한 공동체, 사회, 경제의 성공과 불가분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 5월 31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