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그린수소' 저가생산 실마리 풀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5-22 10:12:06
  • -
  • +
  • 인쇄
'이리듐' 촉매 사용량 10분의 1로 저감
그린수소 생산 '효율과 가격' 모두 충족
▲이리듐 촉매 함량 저감시 발생하는 티타늄 산화층 띠굽음 현상 (자료=카이스트)


국내 연구진이 이산화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실마리를 풀었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희탁 교수 연구팀은 얇은 고분자 막을 분리막으로 사용하는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양극 귀금속 촉매 함량을 낮췄을 때 발생하는 성능 악화 현상을 규명해 그린수소 생산기술 저가화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다고 22일 밝혔다.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수전해는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는 친환경 수소생산 장치로 기존 알칼리성 수전해보다 성능이 높고 수소생산 순도도 높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 수전해 시스템은 산성 환경에서 작동하며, 효율적인 물 분해를 위해 백금이나 이리듐 등 귀금속을 촉매로 사용한다.

문제는 귀금속은 수급이 부족하고 가격이 높다는 점이다. 특히 이리듐 촉매는 양극 반응에 가장 적합하지만 매장량이 적어 현재보다 사용량을 10분의1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 하지만 이리듐 함량을 줄이게 되면 성능이 저하되므로 그린수소 생산비용을 낮추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렇다보니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리듐을 대체하는 새로운 촉매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이리듐 함량 감소에 따른 급격한 성능 저하 및 계면 전자전달 저항 발생 현상 (자료=카이스트)

수전해 시스템에 사용하는 전극은 이리듐 촉매와 바인더로 구성된 촉매층 그리고 티타늄 확산층이 결합된 구조다. 연구팀은 고분자 전해질 수전해의 양극 내 이리듐 촉매 함량을 낮췄을 때 발생하는 성능저하 문제가 촉매층과 확산층 계면에서 바인더 함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이를 규명했다.

이리듐 촉매와 티타늄 확산층이 접촉하면, 티타늄 표면에 존재하는 자연 산화막의 전자띠가 굽는 띠굽음(band bending) 현상이 일어난다. 연구에 따르면 낮은 이리듐 함량의 전극에서는 이 띠굽음 현상이 바인더에 의해 증폭된다. 전자띠가 굽을수록 전자전달이 어려워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띠굽음 현상이 완화된 계면을 설계하면 이리듐 함량을 10분1 수준으로 저감시켜도 동일한 수전해 성능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전극계면의 조성을 변화시켜 귀금속 촉매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김희탁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이리듐 저감형 수전해 전극의 성능 문제를 짚어 그 이유를 규명하고 해결 전략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라고 말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효율과 가격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의 개발에 응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ACS Energy Letter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화석연료 기업들 배출한 온실가스...30년간 28조달러 폭염피해 유발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기업들로 인한 폭염 피해가 28조달러(약 4경185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미국 스탠퍼드대 크리스토퍼 캘러핸 박사와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