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석유화학 등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도 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에서 지난해 10월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에 이어 올 4월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로 탄소중립 기술개발 청사진을 마련했다.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특별위원회 중 하나로, 국가 탄소중립 연구개발 컨트롤타워로서 범부처 탄소중립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탄소중립 기술개발 정책 방향으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선정(안)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석유화학·철강·시멘트 분야(안) △디지털 기반 탄소발자국 모니터링 기술육성 전략(안)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안) 등 총 4건의 안건이 상정됐다.
확정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을 살펴보면,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 지리적 여건과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해 고효율화, 대형화 관련 '태양광(3)·풍력(5)·수소공급(10)·무탄소 전력공급(5)·전력저장(3)·전력망(3)·에너지통합시스템(3)·원자력(3)' 등 8개 분야에서 35개 기술을 선정했다.
산업 부문에서는 탈탄소화에 주안점을 두고 원료전환·연료전환 등 공정혁신 기술을 중심으로 '철강(6)·석유화학(15)·시멘트(5)·탄소포집저장활용(CCUS·11)·산업일반(7(' 등 5개 분야 44개 기술을 선정했다. 수송과 교통 부문에서는 고성능의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친환경자동차(9)와 탄소중립 선박(4)' 등 2개 분야 13개 기술을 선정했다. 건물·환경 부문에서는 우리 주거형태와 효율적인 국토이용 등을 고려해 '제로에너지건물(4)과 환경(4)' 등 2개 분야 8개 기술을 선정했다.
정부는 이번에 선정된 탄소중립 100대 기술을 중심으로 전략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100대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국가 차원에서 100대 핵심기술 관련 사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범부처 통합적으로 예산 배분·조정을 추진한다.
그리고 예비타당성조사 기간 단축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신속·유연한 탄소중립 연구개발을 뒷받침하고, 100대 기술을 중심으로 임무중심의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도 수립하는 등 탄소중립의 체계적인 기술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은 국내외 기술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시 신규 분야·기술 추가, 기존 분야 범위·목표 재조정 등 재설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은 탄소중립 기술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임무지향형 기술임을 고려해 구체적인 목표와 시한을 정하고, 前단계 개발이 성공할 경우에 후속 개발로 진행하는 임무 중심의 시나리오 방식으로 기획됐다. 정부는 이 로드맵을 탄소중립 분야의 정부 연구개발(R&D) 투자의 기본 청사진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산업계 탄소배출의 2위(2018년 기준 4690만톤)를 차지하는 석유화학은 탄소감축을 위한 과감한 공정혁신이 필요함에 따라, 정부는 사업 전 주기에 친환경 공정혁신 기술을 2030년 전후로 안착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다. 연료는 전기 혹은 무탄소 연료(수소혼소, 수소전소 등)로 단계적으로 바꾸고, 친환경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기초 및 고부가 화학원료 생산기술(바이오나프타・올레핀, 바이오 PEF, 바이오 폴리올)을 개발하고, 향후 생산 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다
또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높이기 위해 폐플라스틱 공정 유형별(해중합, 열분해, 가스화)로 연속식 생산공정 기술을 적용해 고부가 화학원료 생산수율을 높이는 개발을 추진하고, 新공정 분야에서는 저급 연료유 및 부산물을 기초 화학원료로 전환하고, 나프타 분해 공정 및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신공정 기술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탄소배출(2018년 기준 1억120만톤)이 가장 많은 철간 산업은 2030년을 전후로 공정과정에서 탄소저감할 수 있는 상용기술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혁신적인 철강 생산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전략을 수립했다. 고로 공정은 2030년까지 대체철원 등 저탄소 연‧원료로 12% 이상 대체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전기로 공정은 2030년 기준 전기사용량을 40% 감축할 수 있도록 대체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디지털 기반 탄소발자국 모니터링 기술 육성전략'은 고온의 화학반응 공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실시간 탄소배출 측정이 가능한 센서와 제품 단위로 탄소배출값을 산정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국제적으로 높은 데이터 품질 요구에 대응하고, 기업의 개별 환경에 맞춰 측정할 수 있도록 탄소 발자국 측정 기술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또 공급망 전반에서 탄소배출 정보교환시 기술유출 우려가 없는 보안기술도 확보해 나간다. 탄소발자국 대응시 기업간의 탄소배출 정보 교환은 필수적이며, 이 과정에서 공정 정보 유출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급망 유형별로 맞춤형 기술 개발을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국내 중소기업 대상으로 공정별 측정 기술을 체계화(모듈화)하고, 실제 적용해볼 수 있는 환경(리빙랩)도 제공하여 기업이 손쉽게 탄소배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탄소측정 표준·기술 확충, 기술 전담기관 운영 등을 통해 탄소발자국 대응에 필요한 지원기반도 확충해 나간다. 단기적으로 철강, 이차전지 등 주력 수출 분야 중심으로 탄소배출 측정 표준 데이터베이스(DB)를 확충하고, 장기적으로는 탄소중립 연구개발 실증 단계시, 탄소배출 측정 기술이 연계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탄소발자국 모니터링 기술 전담기관도 운영하여 관련 기술 모니터링, 기술 수요 발굴 등 탄소 발자국 기술 대응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