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금오름 탐방객 사이에서 유행하는 돌탑쌓기로 분화구의 돌들이 마구 옮겨지면서 맹꽁이 등 양서류가 햇볕을 피할 그늘이 줄고 있다.
지난달 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위치한 금오름 내 양서류 서식지 보전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금오름이 최근 사진 명소로 주목받으면서 인파가 몰려 오름 훼손이 심각해졌다는 것이다. 특히 탐방객들이 금오름 정상 분화구의 습지 주변에 쌓은 돌탑으로 인해 양서류의 서식지가 훼손되고 있다고 단체는 지적했다.
탐방객들이 습지 주변에 널려있는 돌들을 주워 무심코 쌓은 돌탑이 양서류의 서식지를 훼손하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돌탑을 쌓는 데 쓰는 돌들은 양서류에게 꼭 필요한 그늘을 준다. 피부호흡을 하는 양서류는 피부가 항상 촉촉해야 숨을 쉴 수 있어 물과 가까운 곳이나 숲이 우거진 곳에 산다. 하지만 금오름 분화구에는 나무와 수풀이 거의 없어 이곳에 서식하는 양서류에게는 화산송이(화산석)가 유일한 그늘이다.
탐방객들이 돌탑을 쌓으려 이 돌들을 옮겨버리면 양서류가 머물 그늘이 사라져 호흡이 힘들어지는 것이다.
금오름은 산 정상부에 52m 가량 깊이의 분화구가 형성된 화산체로, '금악담'이라 불리는 화구호 습지를 지닌 오름이다. 이곳은 우마를 방목했던 곳으로 유기물이 풍부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맹꽁이를 비롯해 제주도롱뇽, 큰산개구리 등 다양한 양서류가 서식하는 곳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최근 이곳에서 맹꽁이 330여개체와 10만여개의 맹꽁이알이 확인되기도 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탐방객 급증에 따른 금오름 훼손 문제가 지적됐지만 제주도는 금오름이 사유지여서 오름 관리를 강제할 수 없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제는 맹꽁이 등 법정보호종을 비롯한 생태계가 더이상 위협받지 않도록 행정 당국이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적했다.
단체는 오름 분화구에 만들어진 돌탑들을 허물어 원상 복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안내표지판 설치를 제안했다. 또 금오름 분화구 습지 보전방안을 수립하고 다른 오름 분화구의 보전관리 방안도 점검할 것을 요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