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 1.8℃ 이상 상승땐 빙상 붕괴"
만약 인류가 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이루지 못한다면 2150년 남북극 빙상이 녹아 해수면이 1.4m가량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기초과학연구원(IBS)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부산대 석학교수) 연구팀은 빙상·빙산 등 다양한 기후 요소를 결합한 기후 모델을 개발해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해수면 변화를 예측한 분석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
빙상은 남극·그린란드에 주로 펼쳐져 땅을 넓게 덮고 있는 얼음덩어리를 뜻한다. 빙상은 해수면 상승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바다 위에 떠 있는 빙붕이나 빙산이 녹더라도 해수면 높이가 크게 변하지 않은 반면 빙상은 전부 육지 위에 펼쳐져 있어 바다로 흘러가면 해수면을 크게 높인다.
그러나 물리학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빙상의 변화는 예측이 힘들다. 특히 남극 빙상은 대부분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분포해 있어 다른 지역보다 예측이 어렵다. 게다가 기존 지구시스템 모델은 빙상의 변화를 독단적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빙상과 다른 기후 요소 사이 상호작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연구팀은 빙상 외에도 빙산·빙붕·해양·대기 모델을 모두 결합해 지구온난화에 따른 빙상의 반응과 이에 따른 해수면 변화를 살폈다.
연구팀은 개발한 모델로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보고서에서 제시한 3가지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남극 빙상 및 해수면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계속된 산업화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계속 증가한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빙상 소실에 의해 2150년 해수면이 현재보다 1.4m 더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만약 2050년 탄소중립에 도달한다면 2150년에는 해수면이 20㎝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해수면이 1m 상승할 시 한국 국토의 0.5%, 2m 상승할 경우 0.9%가 침수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지구적으로 볼 때 해수면이 1m만 상승해도 4억명 가량의 사람들이 피해를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 연구팀은 지구 온도가 1.8℃ 이상 상승할 때 빙상 붕괴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한편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는 이날 안보리 공개토의에서 "기후변화와 글로벌 평화·안보의 연관성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며 "안보리가 과학자나 지역 기구, 유엔 소속 기관,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취합해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