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인허가 68개월...규제탓에 에너지전환 '게걸음'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26 10:31:14
  • -
  • +
  • 인쇄
진행중인 해상풍력발전사업 70개 가운데
모든 인허가 완료한 곳은 달랑 4곳에 불과


국내에서 해상풍력발전 인허가를 완료하는데 평균 68개월이 걸린다는 진단이 나왔다. 특히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받고도 입지 선정 문제에 발목이 잡혀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곳이 대부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후솔루션이 25일 발간한 '해상풍력 인허가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인허가 절차에 들어간 70개 해상풍력 사업 가운데 허가가 완료된 사업은 지난 10년동안 고작 4건에 그쳤다. 이 보고서는 국내 해상풍력 산업 전반의 인허가 현황을 종합 분석한 첫 보고서다. 

2013년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의 '발전사업허가'를 받고 해상풍력발전을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70개다. 용량으로 따지면 약 20.8GW에 달한다. '발전사업허가'는 예비사업자가 발전사업자의 지위를 갖도록 허가하는 것으로, 전체 풍력발전사업 인허가 프로세스의 첫번째 단계다.

하지만 첫번째 허가를 받은 70개 사업자 가운데 최종 인허가를 모두 완료한 사업자는 현재까지 단 4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량으로 따지면 548메가와트(MW)로, 개발 진행중인 해상풍력발전 사업의 전체 발전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가량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2곳(95MW)만 현재 종합준공까지 모두 마치고 상업 운전중이고, 나머지 2곳(453MW)은 공사를 앞둔 상황이다.

사업허가를 받은 70개 해상풍력발전 가운데 나머지 66곳은 각종 인허가에 가로막혀 사업에 전혀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하려면 29가지 법령에 의거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각각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 보고서는 이런 인허가 과정을 5단계로 구분해 각 단계별로 걸림돌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각 단계별 사업진척도가 100%, 25%, 5%, 2%, 1%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애로사항은 '입지' 문제로 분석됐다. 입지 확보와 관련된 인허가는 예측가능성이 낮고 불확실성이 커서 진척이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현행 인허가 과정에서 3단계에 놓여있다. 이 때문에 앞서 인허가를 다 통과해놓고도 입지 부적절성 문제로 사업 전체를 멈춰야 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입지와 관련해서는 법률의 근거없이 인허가권자의 자의적 판단에 가부가 결정되는 구조여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까다로운 규제 탓에 우리나라에서 지난 10여년간 보급된 해상풍력 발전용량은 0.12GW 수준에 그치고 있다. 2030년 정책목표인 12GW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당장 올해부터 연간 1.5GW의 해상풍력을 설치해야 하지만 현행 제도에서 인허가를 모두 완료하려면 평균 68개월이 걸린다. 인허가 완료 후 2~3년 뒤에 준공하는 것을 감안하면 2030 목표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에 보고서는 "정부가 입지를 먼저 선정하고 사업자를 공모하는 덴마크와 독일처럼 우리나라도 해상풍력 입지를 정부가 먼저 지정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면서 "사업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인허가의 가장 걸림돌로 작용하는 입지 선정 문제를 국가가 주도한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여러 창구로 나눠져 있는 인허가 단계를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창구를 단일화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친환경 포장재 71% 전환

셀트리온은 지속가능한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셀트리온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4-2025'를 27일 발간했다.셀트리온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

넷마블, CSRD 반영한 '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넷마블이 재생에너지 도입, 기술혁신 및 연구개발, 정보보안 등 ESG 경영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넷마블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략과 지

배출권 구매하고 온실가스 감축?...소송 당하는 기업들 급증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온실가스를 상쇄했다고 주장한 기업들이 잇따라 제동이 걸리고 있다. 기후소송이 그만큼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런던정경대(LSE

엔씨, 탄소배출량 절반으로 감축…'ESG 플레이북 2024' 발간

엔씨소프트가 지난해 탄소배출량을 전년 대비 50% 수준으로 감축했다.엔씨소프트가 지난해 ESG 경영 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ESG 플레이북(PLAY

우리금융, 다문화 장학생 1000명 대상 18.9억 장학금 지원

우리금융이 올해 다문화 장학생 1000명을 선발하고, 18억900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우리금융은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의 '다문화 장학사

계면활성제 대체제 나오나...LG전자 '유리파우더' 실증 나선다

LG전자가 세탁세제 원료인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 신소재 유리파우더 '미네랄 워시(Mineral Wash)'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에 나선다.LG

기후/환경

+

덴마크가 의장국 되는 EU...'그린딜' 후퇴 제동 걸리나?

덴마크가 오는 7월부터 유럽연합(EU) 이사회 의장국에 오르며, 자국의 기후정책을 농업 분야까지 확대시키려는 행보에 나설 전망이다. 최근 환경규제

경기도, 전국 최초 '기후격차 해소 기본조례' 제정

경기도가 기후위기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후격차 해소에 관한 기본조례'를 전국 최초로 제정했다.경기도는 기후격차 등

[주말날씨] 대부분 지역에 '비'...'후텁지근' 체감온도 30℃ 이상

이번 주말에는 장맛비가 전국적으로 오라가락한다. 남부 내륙은 30℃를 웃도는 무더위가 덮치겠다.토요일인 28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대부분

챗GPT로 학교숙제?..."원자력으로 계산기만 쓰는 격"

인공지능(AI)의 탄소배출량이 모델 및 질문에 따라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 수준에 따라 최대 6배, AI 모델 수준에 따라서는 최대 50배까지도

배출권 구매하고 온실가스 감축?...소송 당하는 기업들 급증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온실가스를 상쇄했다고 주장한 기업들이 잇따라 제동이 걸리고 있다. 기후소송이 그만큼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런던정경대(LSE

"대구가 작아졌다"…1990년대 이후 몸집 절반 줄어든 이유

1990년대 이후 대구의 몸길이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이유가 인간의 포획활동을 회피하기 위한 유전적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인간이 몸집이 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