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성자재·좁은골목 피해 키워
20일 오전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에서 난 큰 불로 주택 60여채가 불타고 주민 500여명이 대피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불은 이날 오전 6시27분께 구룡마을 4지구에서 발생해 주변으로 확대됐다. 이 불로 가건물 형태의 비닐합판 주택 60채, 총 2700㎡가 소실되고 44가구에서 6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불이 난 구룡마을은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린다. 1980년대 말부터 도시 내 생활 터전을 잃은 철거민들이 구룡산과 대모산 자락에 이주하면서 만들어진 집단촌락이다. 강남구에 따르면, 구룡마을에는 약 666가구가 거주 중이다.
불은 오전 11시46분경 진압됐지만, 이후에도 현장에서는 잿더미 사이로 매캐한 냄새와 함께 김이 솟아오르고 있다. 내려앉은 지붕 사이로 엎어진 밥상이 보인다. 음식과 가재도구가 그대로 남아있어 당시 급박했던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불이 삽시간에 번진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집의 자재가 지목되고 있다. 구룡마을 집들은 '떡솜'으로 불리는 솜뭉치로 사방을 둘렀다. 비닐과 스티로폼, 알루미늄 박판으로도 덮여있다. 내장재로 들어갈 법한 해당 자재들은 바람에 날리기 쉬워 고무 타이어로 고정돼 눌려있다. 모두 불에 잘 타는 물질로 뒤덮여 있는 것이다.
어른 1명이 지나가기도 벅차 보이는 골목에는 겨울을 맞아 LPG(액화석유가스) 통, 연탄들이 수두룩했다. 문어발처럼 뒤엉켜 낮게 드리워진 전선도 진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30년째 구룡마을에서 거주중인 한 주민은 "연탄도 꽉꽉 차 있어 집들이 거의 기름덩어리라고 보면 된다"면서 "눈비로 길이 얼어서 소방차가 들어오는 데도 애를 먹었지만, 반대로 나무들도 젖어 있어 산불까지 번지지는 않은 모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정도로 끝나는 게 천만다행"이라고 덧붙였다.
구룡마을에서는 화재가 끊이지 않았다. 2009년부터 이날까지 최소 16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2014년 11월에는 주민 1명이 숨지기도 했다.
서울시는 2011년 구룡마을 정비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보상·개발 방식을 두고 무허가 주택 주민과 토지주, 시와 강남구의 의견이 부딪쳐 사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은 불이 날 때마다 구호소로 대피했다가 판자촌으로 돌아오기를 반복하고 있다.
한편 이재민 가운데 의료조치가 필요한 이들은 현장의 응급 의료소와 보건소로 이송됐다. 나머지 이재민은 인근 숙박시설로 수용됐다.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구룡마을을 방문해 "일찍 와보려 했는데 진화에 방해될 것 같아서 (진화가 완료된 후 방문했다)"라며 "출동 시간도 상당히 빨랐고 애를 많이 쓰셨다"고 소방관들을 격려했다. 주민들을 만나서는 "어려운 환경에서 고생하셨다"며 "사후 수습을 잘해야 한다. 구청에서 잘 챙겨야겠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