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가공식품만 먹는 '정크 비건'...완전채식이라 괜찮다?

주영지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1 11:55:43
  • -
  • +
  • 인쇄
건강한 식물 풍부 식단이 환경에 더 좋아
동물성 식단보다는 정크 비건이 더 낫다
▲ 비건 버거

정크 비건으로 완전한 채식을 하는 것보다 식물이 풍부한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더 이롭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교의과대학 공중보건대학원과 교육병원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환경과 건강관련 학술지 랜셋 플래니터리 헬스 11월호에 발표했다.

채식을 처음 도전하는 사람들이 음식을 만들 여유가 없을 때, 주로 가공식품으로 시작한다. 이런 비건 가공식품만 먹는 사람들을 '정크 비건'이라고 한다. 콩고기·감자튀김 등 냉동식품을 포함한 가공식품은 영양소가 낮아 '정크푸드'라고 불린다.

연구에 따르면, 이런 정크푸드를 통한 완전 채식보다 식물이 풍부한 식단을 가지는 것이 건강에도 더 좋고 환경에도 더 좋다.

'건강한 식물 풍부' 식단은 충분한 야채, 과일, 콩류, 견과류 및 통곡물을 포함하는 식단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덜 건강한 식물성 식품에는 빵과 같은 정제된 곡물 식품, 설탕이 포함된 음료, 과자, 과일 주스 등이 있다.

"식물성 식단은 보편적으로 다 건강하고 환경에 좋은 것으로 치부되지만, 식단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다"고 아비바 무시쿠스(Aviva Musicus) 공동저자는 말했다.

▲식품별 온실가스 방출량을 나타낸 표 (자료=The Lancet Planetary Health)


다만 연구진은 동물성 식품 위주로 구성된 식단보다 정크푸드 기반의 완전한 채식이 여전히 환경과 건강에 더 이롭다는 입장이다.

가공육을 포함한 고기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 식품의 31%를 차지하고 있다. 동물성 식품이 식물성 식품을 생산할 때보다 물·경작지·비료 등이 더 많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동물성 식단은 식물성 식단에 비해 환경뿐만 아니라 인체 건강에도 더 해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동물성 식품이 없는 식단을 먹는 사람들은 동물성 식품을 섭취한 사람보다 심혈관 질환을 앓을 가능성이 낮았다.

다니엘 왕(Daniel Wang) 공동 저자는 "인간의 건강은 궁극적으로 지구 건강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모든 식물성 식단이 동일한 건강과 환경적 이점을 주지 않는다는 인식 아래에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식단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