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가 차원의 포럼이 추진된다. 해당 포럼에서는 수요자 관점에서의 기술 개발 및 활용, 국제협력 등을 논의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오후 2시 과총회관에서 산·학·연·관 5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기후미래포럼 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기후미래포럼은 기술공급자적 시각에서 벗어나 수요자 관점에서 '기술의 현장 활용·확산을 촉진해 국가적 목표 달성에 기여함'을 지향점으로 둔다. 기후 분야에 대한 신규 정책 및 사업 기획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준비위원회는 총괄위원회(위원장 김상협 제주연구원 원장)를 비롯해 기술분과, 경제·산업분과, 법·제도 분과, 국제협력 분과 등으로 구성된다. 총 45명 내외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분과별 정책과제를 선정하고 해당과제를 중심으로 목표 지향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분과별로는 △기후데이터 활용의 고도화 △기후기술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재원 연계 및 국내 기후기술의 해외진출 지원을 주요 의제로 삼아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기술분과는 국내 기후위기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미래 기후 모델링'이라는 혁신적 기후기술 연구개발(R&D) 설계를 목표로 한다.
경제·산업분과에서는 혁신주체이자 기술과 경제·산업간 연결 고리의 핵심인 '기후 스타트업'이 부재한 점을 고려해 스타트업의 탄생-성장-확산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방향을 모색한다. 아울러 '기후기술 스타트업 육성방안'을 마련한다.
국제협력분과에서는 우리나라 기술이 해외로 진출하는 동시에 국제무대에서 선진국 국격에 맞는 기후기술 협력의 선도자가 되는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제1회 기후미래포럼은 올 12월 개최해 5개월간 논의 결과물을 정책과제로 발표한다. 제1차 기후기술촉진기본계획(12월 발표예정)과 연동해 차년도 정책에 반영한다.
김상협 위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기후기술에 대한 지속적 선진국·개도국과의 국제협력 및 인력양성이 필요하다"며 "특히 해외 개도국의 협력 수요가 많은 만큼 이를 기후기술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신규사업·정책으로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