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등 각국 틈새 노려 벌채규제 완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목재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각국이 목재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규제 완화에 나섰고, 이에 따른 무분별한 벌목으로 산림환경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2021년 기준 전세계 목재 거래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세 나라가 전쟁과 경제제재로 목재 수출에 타격을 입으면서 불법 벌채가 늘어나는 우려스러운 상황에 대해 지난 19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더구나 '벌채 중단'은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세계 지도자들이 합의한 유일한 성과물이었는데 각국의 벌채규제 완화로 이 합의가 무색해지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해 목재 4000만㎥를 수출한 세계 최대의 연목(재질이 비교적 연한 침엽수 따위의 목재) 수출국이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의 수출 제재를 받으면서 러시아와 그 우방인 벨라루스는 목재 수출이 크게 줄었다.
또다른 목재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제재로 생겨난 목재 시장의 공백을 기회로 보고, 지난 2월 법정보호림에 대한 규제를 풀어 이번 봄과 여름 사이 벌목을 허가했다. 전쟁 장기화로 국가가 존폐 위기에 처한 우크라이나는 목재 수출로 벌어들인 자금으로 방위력을 증강하고, 전쟁 이후 재건비용을 확보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크게 우려하고 있다. 러시아 접경지역인 우크라이나 돈바스에 전쟁 포화로 발생한 산불을 끌 소방인력도 차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법정보호림을 해제하면 불법 벌목이 성행할 것이 뻔하고, 이로 인해 산림이 대규모로 훼손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자연보호단체'(UNCG)의 예호르 흐리니크 운동가는 "모든 논리가 전쟁과 무기로 치우치면서 환경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며 "위성사진을 보면 돈바스 지역을 관통하는 도네츠강 유역은 산불로 발생한 연기가 가득하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미국 하원 천연자원위원회는 지난 4월 러시아산 목재의 수입 공백을 자국 벌목확대로 충당하는 '독재자로부터 목재 수입 반대 법안'(No Timber From Tyrants Act)을 통과시켰다. 에스토니아는 이달초 자국 산림의 절반에 달하는 국유지 벌목규제를 완화하고, 축구장 3000여개에 달하는 2400헥타르(㏊) 규모의 벌목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핀란드는 2021년 기준 벌목량이 전년대비 10% 증가한 7600만㎥에 달하면서 이산화탄소 흡수원이었던 핀란드의 숲이 처음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원으로 전환됐다. 그럼에도 핀란드는 목재 수확량을 향후 2년간 3%씩 총 6% 늘릴 계획이다.
킴 카르스텐센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 사무총장은 "지난 2021년 COP26에서 100명이 넘는 각국 지도자들이 2030년까지 산림벌채를 줄이겠다는 공약을 발표했지만, 세부적인 이행 지침을 정하지 못했다"며 "대부분의 국가들은 목재 수요를 스스로 충당하지 못하고 있고, 산림벌채는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감시 역량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