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마리 생육 데이터 개체수 연구에 활용
한화그룹은 국립 한국농수산대학교에 시범적으로 솔라비하이브를 설치했다고 19일 밝혔다. 꿀벌의 생육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개체수를 늘리고, 생물다양성 보존과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솔라비하이브는 꿀벌들의 생육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벌통과 벌통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외부설치물로 구성돼 있다. 벌집 상단에 설치한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벌통 내 온도, 습도, 물과 먹이 현황을 확인하고 제어하며 벌통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앱으로 실시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시스템이 적용됐다.
또 말벌 같은 꿀벌의 천적 출몰을 소리 측정과 분석을 통해 탐지하는 기능도 탑재했다. 말벌이 접근하면 솔라비하이브의 입구가 꿀벌만 지나갈 수 있는 작은 통로로 전환해 말벌의 침입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솔라비하이브는 총 4만마리의 꿀벌들을 수용해 교내 실습용 과일나무와 주변 지역 식물의 수분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해당 꿀벌들의 생육 및 활동 데이터는 꿀벌 개체수 관련 연구에 활용된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 이상이 꿀벌의 수분으로 생산된다. 하지만 기후위기로 꿀벌의 개체수와 종 다양성이 급감하고 있다. 꿀벌의 급감은 식물에서 동물로 이어지는 생태계 붕괴와 이로 인한 인류의 식량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2020년 기준 전세계 약 78억명의 인구가 2100년에 이르면 약 110억명에 달해 식량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지만, 꿀벌의 개체수는 정체하거나 줄고 있어 인구대비 꿀벌의 부족 현상이 지속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태양광 발전소의 주변 환경을 잘 활용하면 꿀벌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2021년 12월 '영국·프랑스 통합생태학회'에서 발표됐다. 태양광 발전이 꿀벌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오해를 반증하는 사례다. 영국 랭커스터대 생물학과 연구진이 영국 내 태양광발전소 위치와 주변 지역 꿀벌 개체 밀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태양광발전소 반경 1km 이내의 꿀벌 개체수가 다른 농경지보다 최대 4배 많다는 것이다. 이는 영국의 태양광발전소 주변이 공원 형태로 조성되어 다양한 식물로 꾸며져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미국과 유럽에서도 태양광 발전소 인근 지역의 식생을 활용하여 양봉을 병행하는 사례도 있다. 태양광 패널 하부에 야생화를 심어 꿀벌과 나비 등 수분 활동을 하는 곤충들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조성하는 방식이다.
한국농수산대학교 산업곤충학과 김혜경 교수는 "솔라비하이브는 꿀벌의 발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병해충 등의 위험 요인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꿀벌의 개체 수 증식 및 종 보존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