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선 설치할 수 없어
가정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를 사용하고 비축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국내 시장에서는 걸음마도 떼지 못하고 있다. 아파트같은 공동주택은 설치할 공간이 없는데다 ESS에 대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가정용 ESS는 화재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주택과 분리된 설치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주거시설 대부분은 아파트나 빌라같은 공동주택들이다. 아파트 안에는 주거공간과 분리돼 ESS를 설치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보편화되기 어려운 환경이다.
실제로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에 판매한 가정용 ESS 'RESU 10H(R타입)'는 화재사고로 대량 리콜조치됐다. 이 제품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했다. 이 때문에 가정용 ESS를 많이 사용하는 미국은 배터리의 화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주택과 격리된 공간에 설치하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마당이나 개별주차장이 없는 공동주택에서는 가정용 ESS 장비가 '그림의 떡'인 셈이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19년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수는 약 1400만가구로, 전체 주택의 77.2%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1128만7000호에 달했다. 태양광을 설치한 가구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가정용 ESS 수요가 없는 이유다. 국내 태양광 설치 가구수는 2019년 기준 38만730가구였다.
반면 유럽과 북미에서는 가정용 ESS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내비건트 리서치(Navigant Research)는 전세계 가정용 ESS 시장이 2019년~2024년 연평균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국가들은 마당 여유공간에 ESS를 설치할 수 있는 단독주택 거주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값싼 전기요금도 ESS 시장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ESS를 연구하는 어피니티에너지의 김태형 연구원은 "우리나라 전기료가 너무 싸다"며 "가정용 ESS 장비의 가격은 비싸고 전기값은 싸기 때문에 설치해도 경제성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1대당 600만~700만원하는 가정용 ESS를 설치했는데 이 장비에 저장된 잉여전력을 한전에 팔아봐야 푼돈 수준이다. 15년마다 장비를 교체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전국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미국과 독일 등은 지역별 전기요금이 큰 차이가 있다. 도시와 떨어져 있는 지역이거나 전기요금이 비싼 지역은 태양광 발전설비와 더불어 가정용 ESS를 설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김태형 연구원은 "도시마다 전기료가 다르고 발전소와 떨어져 있는 거리에 따라 전기료가 달라지는 나라에서는 ESS 수요가 많다"면서 "가정용 ESS를 운영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시판되는 제품도 거의 없다. LG에너지솔루션은 가정용 ESS 장비를 2010년부터 북미지역에서 판매한 이후 유럽과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등지로 판로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LG에너지솔루션이 출시한 가정용 ESS 제품은 전기를 최대 17.2킬로와트시(kWh)까지 저장할 수 있다. 1개의 배터리 셀당 4.3kWh가 저장되고, 제품에 기본으로 2개의 셀이 설치돼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17.2kWh면 전기를 많이 쓰는 가구 기준 하루 전력량의 절반을 충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4인가구 평균 전기사용량은 20~30kWh다. 이어 이 관계자는 "화재 위험성에 대비해 실시간 배터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는 가정용 ESS 수요가 없다보니 관련 제도나 지원책도 없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10kWh이하 가정용 ESS 장비 보조금으로 연간 총 4800만달러(약 586억원)를 지원하고 있다. ESS 업계 관계자는 "가정용 ESS 설치비 지원 등 정부지원이 이뤄진다면 시장이 열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화재의 위험에 대비해 안전장치 마련을 위한 제도도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