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전쟁은 ESG 외면이 빚어낸 참사"...ESG업계 자성의 목소리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5 08:10:02
  • -
  • +
  • 인쇄
러시아 CCC등급 강등에 "8년 늦었다"
수익성만큼 사회·환경 영향 고려해야


전세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실패'로 빚어진 참사라는 자성의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전략기획 및 ESG 컨설팅업체 베라시티 월드와이드(Veracity Worldwide)의 창립자 스티븐 폭스(Steven Fox)는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SG 시대가 도래한 뒤 유럽 내에서 발발한 첫 전쟁"이라며 "기업들이 옆으로 물러앉아 가만히 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ESG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직원들과 소비자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수준이 높아졌고, 기업들이 모든 개별적인 사안에 대해 '도덕적 행위자'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근 10여년간의 상황을 놓고 봤을 때 기업과 투자자들은 전쟁이 벌어져도 최대한 기존의 수익모델을 염두에 두고 철수 여부를 판단했다면, 이번 러-우 전쟁이 서방세계에 가장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오면서 수익성 위주에서 가치 위주로 ESG 투자업계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총영사관에서 암살된 사건 당시에도, 중국 신장의 위구르 자치구에서 벌어진 인권탄압,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등을 두고도 각국의 ESG 투자자들과 기업들은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 인권과 관계없이 해당 국가의 집권세력이 건재하다면 국채 등의 변동성이 줄어 수익성이 보장됐기 때문이다. 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진압되고, 일상적인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2021년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14.9% 증가했다.

특히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의 크름반도(크림반도)를 강제로 합병했을 당시에도 투자자들의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이에 대해 870억달러(약 108조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덴마크연금펀드(PFA) 사샤 베슬릭(Sasja Beslik) 지속가능성 부서 대표는 "현재 우크라이나의 비극이 벌어지기 8년전 이미 위험신호가 감지됐지만, 대부분의 펀드매니저와 ESG 분석가들은 아무런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며 업계차원에서의 각성을 촉구했다.

베슬릭 대표는 지난 8일 MSCI가 러시아 정부의 ESG 평가등급을 'B' 등급에서 'CCC' 등급으로 강등한 것에 대해 "8년 늦었다"며 "국가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자산운용사들이 자체적인 분석없이 MSCI나 서스테인애널리틱스(Sustainalytics) 등 제3자인 ESG 데이터 분석업체들에 용역을 맡기면서 지나치게 의존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MSCI의 ESG 평가등급은 'AAA' 등급부터 'CCC' 등급까지 총 7단계다.

이같은 성토가 이어지면서 투자운용사 거버가와사키(Gerber Kawasaki Wealth and Investment Management)의 로스 거버(Ross Gerber)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중국에 대한 투자를 비판하는 사람도 그 순간 중국에서 제조한 아이폰으로 타이핑을 하고 있고, 중국에서 만든 옷을 입고 있다"고 할 정도로 불문율로 여겨졌던 기존 투자자들의 중국에 대한 묵인이 깨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 8일 1조3000억달러(약 1615조원)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중국 대표 스포츠브랜드 리닝이 중국 신장에서 중대한 인권침해를 저지르고 있어 이를 '수용불가능한 리스크'로 판단하고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ESG행동투자기관 셰어액션(ShareAction)은 "투자자들은 진공속에서 자금운용을 하는 게 아니다. 결정을 내리든, 내리지 않든 투자자들의 행동은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며 "재무적 리스크 관리를 넘어 수익성만큼 사회와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진짜 책임투자자"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서울 첫 '폭염경보' 발령된 7일...전력수요도 첫 90GW 찍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령된 7일 오후 국내 전력수요가 한여름을 방불케하는 90기가와트(GW)에 달했다.7일 전력거래소의

[영상] 순식간에 9m 불어난 강…美텍사스 '대홍수' 참사

미국 텍사스주가 돌발홍수로 쑥대밭이 됐다. 폭우에 가뭄으로 말랐던 강 수위는 90분만에 9m까지 치솟았고, 인근 저지대에서 야영하던 사람들은 순식간

'日 대지진' 예언날짜 지났지만...여전히 불안한 주민들 '탈출러시'

'일본 대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예언된 7월 5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본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를 중심으로 지진이 이어지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대피

폭염을 이기지 못한 아스팔트...아이스크림처럼 '흐물흐물'

폭염을 이기지 못하고 도로 아스팔트가 녹아내리는 일까지 벌어졌다.지난 4일 뉴스1에 따르면 울산 북구 농소초등학교 앞 버스정류장 근처에서 도로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