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소비 방식 바꿔 '부정성 편향' 줄여야
기후위기에서 파생한 '기후불안'이 청년들이 극단적인 성향에 빠지도록 내몰고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훔볼트주립대 환경학과 사라 레이(Sarah Ray) 교수는 30일(현지시간) CNBC와의 대담에서 젊은이들이 기후위기로 비롯한 문제에서 정서적 충격을 받는 '기후불안'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며 기후관련 소통방식과 심리학적인 접근에서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레이 교수에 따르면 최근 강의실 내 학생들이 '절박감'에 사로잡혔다. 기후위기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던 과거와 달리 정밀한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면서 젊은이들은 앞으로 자신들이 가장 큰 손해를 보게될 세대라는 것을 자각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레이 교수는 학생들이 더는 과학기술, 공학, 정치, 법 등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며 강의에서 보내는 시간이 낭비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기후불안은 출산 거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일부 환경운동가들은 그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아이를 갖지 않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최근 젊은이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살기 적합한 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세상에 아이를 살게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레이 교수는 이러한 무력감과 절망감이 무대응과 포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다.
다만 레이 교수는 "필요는 창조의 어머니이고, 절박감은 행동의 어머니이기도 하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환경학과 학생들은 기존 연구직뿐 아니라 아동 문학 작가, 선생님 등 당장 많은 사람에게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줄 수 있는 진로로도 관심이 확대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 레이 교수는 현재 미국의 청년 세대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정치적으로 많은 것을 바꿔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고, 이들은 지난 50년 이래 가장 정치적 연대가 강한 세대라고 분석했다.
레이 교수는 미디어 소비 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며 과학적인 근거자료에 대한 소식은 계속해서 확대하되 현실과 거리가 먼 부정성 편향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세상이 얼마나 나쁜지와 세상이 얼마나 좋은지 둘 다 인식할 수 있다"며 "우리는 적극적으로 긍정적인 소식을 접할 필요가 있다. 이는 뉴스와 우리 인식 기저의 부정성과 균형을 맞춰나가는 것이지 현실부정이나 순진함이 아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