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두바이에 쏟아진 폭우 기상이변? 알고보니 '인공강우'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1-07-23 18:05:07
  • -
  • +
  • 인쇄


연평균 강우량이 100mm도 채 안되는 두바이에 난데없이 폭우가 쏟아져 화제다.

이는 지난 6월부터 두바이를 포함한 일부 지역이 50도에 달하는 폭염이 이어지자, 아랍에미리트(UAE) 기상청이 인공강우 기술을 이용해 폭우가 쏟아지게 한 것이다. 폭우로 인해 도로에 작은 폭포가 생기고, 사막에 웅덩이가 만들어질 정도였다.

사실 인공강우는 두바이가 처음은 아니다. 1946년 미국에서 최초로 인공강우 실험에 성공했다. 이후 연구가 이어지면서 중국과 러시아는 인공강우 기술을 상용화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하지만 두바이의 이번 인공강우는 화학물질을 뿌리지 않고 인공강우를 내리게 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통상 지금까지 알려진 인공강우 기술은 화학물질을 살포해 강제로 빗방울을 만드는 것이었다. 방식은 크게 두가지다. 첫번째는 구름 상단부가 영하 4~6℃인 경우에 '구름씨' 역할을 하는 드라이아이스나 친수성이 강한 요오드화은(AgI)을 살포한다. 그러면 상단부 얼음알갱이들이 뭉치면서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커진 얼음알갱이들이 수증기를 응결시켜 비가 내리도록 한다.

두번째는 상단부가 영상인 온난구름인 경우는 얼음알갱이가 없고 수분알갱이로만 이뤄져 있기 때문에 흡습성 물질인 염화나트륨 등의 화학물질을 '구름씨'로 살포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염화나트륨이 수분을 응집시켜서 빗방울이 되도록 한다.

그런데 UAE는 이런 기존의 방식과 전혀 다른 기술을 적용했다.

▲두바이 연평균 강우량(출처=Weather Spark)

이번 인공강우는 염화나트륨 입자나 요오드화은 같은 화학물질을 구름에 뿌리는 방식이 아니라, 전용장비를 착용한 드론이 구름 속에 전하를 방출해 빗방울 생성을 유도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맡은 마르텐 암범 영국 레딩대 기상학 교수는 "정전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빗에 달라붙는 것과 같이 물방울이 전기 파동을 받으면 서로 합쳐지게 된다"며 "물방울이 충분히 커지면 뜨거운 날씨에도 증발하지 않고 비가 되어 내릴 수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을 통해 설명했다.

UAE 기상청은 북부 라스알카이마 지역에서 차량들이 폭우 속을 달리는 영상을 소셜서비스(SNS)에 공개하기도 했다.

▲전파방출기를 탑재한 'Zapper drones'(출처=University of Reading)


UAE는 연평균 강우량이 100mm에 불과한 심각한 물부족 국가다. 현재 UAE는 사용하는 물의 40%를 해수의 담수화로 충당하고 있다. 이에 UAE 정부는 1990년대부터 '강우량 강화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지난 2017년부터 1500만달러(약 173억원)를 들여 인공강우 등 9가지 강우량 강화 연구를 시작해 이번에 폭우를 내리게 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에 UAE는 인공강우를 점차 늘려 향후 15년 안에 담수화 비중을 절반으로 줄일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중공업,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

삼성중공업이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삼성중공업은 독자 개발한 '유기랭킨사이클(ORC:Organic Rankine Cycle) 기반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쿠팡 '못난이 채소' 새벽배송 3년...직매입 물량 8000톤 돌파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지난 2023년부터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기후/환경

+

전기차 충전시설, 28일부터 지자체 신고·책임보험 의무화

이달 28일부터 건축물 주차장에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지자체에 신고하고 책임보험도 가입해야 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COP30] 교황의 묵직한 경고..."기후위기 대응, 더는 미룰 수 없다"

교황 레오 14세가 세계를 향해 "기후위기 대응을 즉각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묵직한 경고를 날렸다.교황 레오 14세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앞으로 '1000년' 이어진다

탄소중립을 달성해도 산업화 이후 오른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소 1000년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17일(현지시간) 21세기 호주 연방산업연구기구(CSIRO)

[COP30] "이건 생존이다!"…기후 취약국들 COP30에서 '절규'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는 생존 문제"라며 선진국의 실질적 감축과 재정지원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17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

지역마다 제각각 풍력·태양광 '이격거리'...기후부, 규제 합리화 추진

지역마다 제각각인 태양광과 풍력의 이격거리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규제 합리화를 추진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서울 영등포구 한국에너지공단 서울

'대기의 강' 때문?...美 LA에 역대급 폭우로 '물난리'

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비롯한 캘리포니아 남부지역에 폭우가 나흘 넘게 이어지면서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17일(현지시간)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