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캠퍼스에 원자력발전소가?"...초소형 원전 '오로라' 나온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6-29 16:13:33
  • -
  • +
  • 인쇄
美오클로 '오로라' 2025년쯤 상용화 예정
기술적으로 완성단계, 법적 허들만 남아
▲초소형 원자력발전소 '오로라' 개념도 (사진=오클로 트위터)


핵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고 탄소배출이 없는 초소형 원자력발전소가 조만간 등장할 전망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오클로'(Oklo)는 자사가 개발중인 초소형 원자력발전소 '오로라'의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최근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기술사업화기금(TCF) 200만달러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로라' 상용화 시기도 2025년으로 앞당겨질 전망이다.

2013년 설립된 오클로는 2020년 DOE로부터 차세대 핵분열발전소 '오로라'(Aurora)의 시험용 부지 사용허가를 받았다. '오로라'는 빌 게이츠가 설립한 테라파워(TerraPower)에서 개발중인 소형모듈원전(SMR)보다 크기가 작다. 미국 원자력협회(NEI)는 초소형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1~10MWe 규모의 발전소'로 정의하는데, 오로라가 이에 해당된다. 테라파워 SMR의 발전량이 345MWe인 반면 오로라는 1.5MWe 정도다.

초소형 원자력발전소는 여러 면에서 이점이 있다. 우선 범용성이 크다. 규모가 작은 까닭에 용도와 설립부지에 대한 제약이 적다. 대학캠퍼스, 산업현장, 대기업 사옥,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 등 어디든 만들 수 있다.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에너지 낭비도 줄일 수 있다. 관리인력없이 무인 자가발전이 가능하다.

또 '오로라'는 청정에너지 발전소다. 핵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고,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차세대 고속중성자로와 전기정련기술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활용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 기술로 핵폐기물에 남아있는 잔존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10만~100만년 걸리는 기존 핵폐기물 처리기간을 100~1000년으로 줄일 수 있다.

기술적으로는 거의 완성단계지만 오클로에게는 법적인 허들이 남아있다. 발전소 무인가동시 안전문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클로는 부지 사용허가를 받았을지 몰라도 초소형 원자력발전소 자체는 '검토승인'을 받은 단계이지 아직 '설립허가'를 받지는 못했다.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석 물리학자 프랭크 폰 히펠 교수는 "발전소 규제기관이 먼 곳에 떨어져 있는 초소형 원자력발전소까지 24시간 내내 경비대를 두는 등의 안전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고, 이는 큰 비용이 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클로의 공동설립자 캐롤린 코크란은 "미국과 전세계에는 수십년간 보안인력 없이 운영되는 발전소들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초소형 원자력 발전소는 작은 전력설비들의 탈탄소를 도울 뿐 우리가 당면한 기후위기에 맞서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해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텀블러 세척기 사용후기 올리고 상품받자'...LG전자, SNS 이벤트

스타벅스 등 커피 매장에서 LG전자 텀블러 전용세척기 'LG 마이컵(myCup)'을 사용한 후기를 소셜서비스(SNS)에 올리면 LG 스탠바이미나 틔운 미니 등을 받을

올해만 5번째 사망자...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강하게 질타

올들어서만 4번의 사고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기후/환경

+

[날씨] 비 없이 10일 넘게 '쨍쨍'...7월 '열대야' 최장기록

집중호우가 전국 곳곳을 휩쓸고 지나간 다음부터 지금까지 열흘 넘게 따가운 햇볕이 내리쬐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불볕더위가 장기화되면서 서울

"온실가스도 車배기가스 규제도 폐지"...美 환경규제 '흔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환경규제의 근간이 되는 온실가스 평가를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리

밭에서 익어버린 단호박…폭염에 농산물과 축산 피해 잇달아

단호박이 밭에서 그대로 익어버리는 등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제주시 한경면에서 미니 단호박 농사를 짓는 제주볼레섬농장 대표는 지

전담부서 해체한 美 'COP30' 불참할듯...기후리더십 中으로 이동?

미국이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유럽연합(EU)과 기후협력까지 맺은

업종별 배출량 전망 모두 빗나갔다...엉터리 통계로 NDC 수립한 尹정부

윤석열 정부 시절에 산업 부문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추는 근거로 삼았던 당시 산업연구원의 2024년 배출 전망이 완전히 빗나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일본·러시아 쓰나미 경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츠크해에 접한 캄차카반도에 대규모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근처 지역에 재난 가능성이 우려된다.러시아와 일본에는 '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