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잡는 '미생물 그물망' 개발됐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5-02 08:32:29
  • -
  • +
  • 인쇄
홍콩이공대학교 연구진 '생물막' 설계
▲녹농균 생물막 (출처=리서치게이트)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하나인 미세플라스틱을 박테리아를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이 고안됐다.

28일 영국미생물학회(microbiology society) 연례 총회에서 발표된 연구자료에 따르면 박테리아의 끈끈한 성질을 이용한 '미생물 그물망'으로 오염된 물 환경의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할 수 있다.

박테리아는 군집하려는 습성과 표면에 붙어있으려는 습성이 있다. 이 때문에 박테리아를 활용하면 '생물막'이라는 접착력 있는 물질을 만들 수 있다. 아침에 이를 닦을 때 치아 표면을 덮은 '치태' 역시 생물막의 일종이다.

이번 실험을 진행한 홍콩이공대학교 연구진은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녹농균)로 생물막을 설계했다. 연구진은 이 생물막으로 미생물 그물망을 만들어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했다.

미생물 그물망을 수면에 풀어놓으면 미세플라스틱이 흡착된다. 일정량 미세플라스틱이 흡착되면 그물이 물밑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가라앉은 그물망은 수거해 '생물막 분산 유전자' 기술로 끌러 내고, 수집한 미세플라스틱 덩어리들을 모아 재활용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물병, 장바구니, 합성섬유, 마이크로비즈 세정제 등 생활용품의 제조·사용·해체 과정에서 끊임없이 배출된다.

크기는 작을지 모르지만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생활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은 바다와 토양으로 흘러들어간다. 미세플라스틱은 생분해되기 어렵고, 자연환경에서 오래 머물면서 독성화학물질을 흡수하기도 한다. 이는 동·식물을 위협하고  먹이사슬을 타고 올라가 종국에는 사람의 건강도 위협한다.

홍콩이과대학교 연구진의 실비아 랑 리우 연구원은 "자연환경의 '플라스틱화'를 막기 위해 미세플라스틱을 모으고 재활용하는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일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실제 자연환경이 아닌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되는 개념증명 단계에 불과했고, 그물망 형성에 필요한 슈도모나스 녹농균이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미세플라스틱 포획에 있어 흥미로운 진전"이라며 "아직 준비단계일지라도 미생물의 역할이 재조명됐고, 자연에 존재하는 요소를 간단히 활용해 지속가능하게 플라스틱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며 호평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기후/환경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