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한다.
LG엔솔은 17일 충청북도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열린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에서 올해말부터 생산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LFP(Lithium iron phosphate) 배터리는 리튬인산철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 종류로, 일반적인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길다. 가격도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저렴하다. 무엇보다 과충전 또는 과방전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 낮아 ESS용 배터리로 각광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ESS 시장의 약 90% 이상이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돼 있으며, 향후 그 비중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LG엔솔은 초기에는 1기가와트시(GWh) 규모로 생산할 예정이며,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LG엔솔은 비(非) 중국권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체계를 갖추고 있다. 지난 2024년 중국 남경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한 LG엔솔은 올 6월부터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회사 측은 "이같은 양산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업체들과 대규모 ESS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 올 3분기 기준 약 120GWh에 육박하는 수주 잔고를 확보한 상태"라며 "신규 및 기존 고객들과 추가적인 계약 논의도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LG엔솔은 아직 국내 양산체계 부족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는 LFP 소재 등을 충청북도 및 국내 소부장 협력업체들과 공동 기술개발, 단계적 공급망 협력 등 사업적 교류를 확대해 ESS 산업 생태계, 그 중에서도 특히 LFP 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안정적인 생산 역량과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ESS 사업을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