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카로 '자동차 마법' 일으킨다고?...팀 쿡 "뭘하는지 두고봐!"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4-06 19:42:49
  • -
  • +
  • 인쇄
▲애플 CEO 팀 쿡 (출처=AppleInsider)


애플 최고경영자(CEO) 팀 쿡이 자율주행 자동차 '애플카'에 대해 묘한 뉘앙스를 풍겨 애플카가 어떤 모습으로 등장하게 될지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팀 쿡이 '애플카'를 가리켜 '마법'이라는 표현까지 썼다는 점에서 스마트폰을 만든 애플이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유형의 자동차를 내놓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팀 쿡은 지난 5일(현지시간) 취임 10주년을 맞아 뉴욕타임스 팟캐스트 '스웨이'(Sway)에 출연해 애플카와 관련된 의미심장한 말들을 남겼다. 그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사실상 '로봇'"이라며 "자율주행과 관련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고, 애플이 뭘 하게 될지 두고보자"고 말했다. 

하지만 팀 쿡은 애플이 개발중인 분야가 자동차 차체인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기술에 국한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팟캐스트 진행자가 이 부분을 콕 집어서 묻자 쿡 CEO는 "우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통합해 교차 지점을 찾는 일을 좋아한다"며 "여기서 바로 '마법'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부분에 있어 주요 기술을 확보하려 한다"고 에둘러 답했다.

애플은 2014년 '프로젝트 타이탄'(Project Titan)을 추진하면서 전기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세웠다. 이후 2018년 8월 자율주행기술 개발로 선회해 2019년 자율주행 전문업체 '드라이브AI'(Drive.ai)를 인수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월 현대·기아차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의 협력이 불발되면서 애플카 사업은 "루머만 무성하고 현실성은 없다"고 평가받기도 했다.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은 애플과 손잡으면 협업이 아닌 단순 하청으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협력을 꺼리고 있는 형편이다. 독일 코메르츠방크의 자동차시장 분석가 데미안 플라워스는 "애플은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을 것"이라며 "애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이점은 생산물량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을 정도다.

▲애플카 콘셉트 디자인 (출처=MotorTrend)


전문가들은 현재 애플이 모빌리티에 방점을 두고 있다고 봤다. 이 때문에 애플카 생산은 '만약'이 아닌 '언제' 현실화되느냐에 달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로이터통신이 보도한 익명의 애플 관계자는 '프로젝트 타이탄'이 계속되고 있고, 애플은 이르면 2024년까지 전기·자율주행 자동차 자체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로서 가장 유력한 '애플카' 생산업체는 세계 3위 자동차 부품업체인 캐나다의 '마그나 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이다. 최근 마그나는 "애플카를 만들 수 있다"며 애플에 공개적으로 러브콜을 보낸 바 있다. 마그나는 오는 7월 LG전자와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LG Magna e-Powertrain)을 설립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휴대폰 사업을 철수하면서 미래성장동력인 전장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블룸버그가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이 자사의 자동차 사업부문을 애플카 생산기지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지만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애플카 위탁생산설은 소문에 불과하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폭스콘이 원·하청으로 비춰지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의 고객으로서 애플을 유치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그동안 폭스콘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전기차 위탁사업을 시작했다. 폭스콘은 독자적인 플랫폼 확보가 아닌 공유 전기차 플랫폼 무료 개방을 통해 자동차 기업이 아니더라도 IT·산업디자인 기업 등이 전기 자동차 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췄다. 폭스콘은 이 플랫폼을 통해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계에 따라 전기 자동차 부품을 위탁생산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기후/환경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