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전환, 산업 저탄소화 등 기술 개발 집중지원
거리를 달리는 자동차들은 거의 전기차와 수소차다. 건물들은 자체 태양광 발전으로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철강, 석유화학 등 탄소배출이 많았던 산업들도 '그린철강' '바이오 석유화학' 등으로 탈바꿈해 환경친화적 산업이 된다.
정부가 제시한 '2050 탄소중립 사회'의 예상도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 전략'을 확정했다. 기술혁신을 통해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지향하겠다는 방침이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신산업 창출 집중지원, 민간주도의 저탄소 전환, 지속가능한 연구기반 등의 전략을 내놓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핵심기술 개발이라고 강조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해야 이를 통한 산업 창출과 생태계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에너지 전환, 산업 저탄소화, 수송, 건물 등 네가지 부문에서 10대 핵심기술을 선별해 목표와 전략에 대한 밑그림을 그렸다. 이를 각 분야별로 현황과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화시켜 관련 연구개발의 청사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10대 핵심기술 중 에너지 전환 부문에는 '태양광·풍력' '수소' '바이오에너지' 등이 있다. 이들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료비 문제를 해결해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우선 현재 27%(상용 20%) 수준인 태양전지의 효율을 2030년까지 35%로, 2050년에는 4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중국의 저가공세에 대응해 초고효율화 및 응용처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풍력과 관련해서는 용량을 늘리는 대형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현재 국내 기술경쟁력이 낮다는 점을 감안해 육·해상 대형풍력의 국산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용량 목표는 현재 5.5MW에서 2030년 15MW, 2040년 20MW로 늘릴 계획이다.
탄소중립의 핵심수단인 수소와 관련해서는 단가를 낮추고 안정적인 공급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정부는 현재 1kWh당 250원인 수소 발전단가를 2040년 131원까지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수소충전소 공급가는 현재 1kg당 7000원에서 2040년 3000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 역시 연료의 가격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다. 정부의 목표는 현재 화석연료 대비 120~150% 수준의 바이오연료의 가격을 2045년 85% 수준까지 낮추겠다는 것이다.
산업 저탄소화 부문에는 '철강·시멘트' '석유화학' '산업공정고도화' '탄소포집'(CCUS) 등이 포함돼 있다. 주로 연료나 원료를 저탄소물질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공정 혁신을 통해 탄소배출을 줄이는 형식이다. 탄소포집의 경우 아직 경제성이나 상용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기술 개발과 실증을 통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이밖에 차세대전지 배터리 밀도를 높이고 수소 고속충전기술을 개발해 수송효율을 높이고,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목표도 각각 수송효율과 건물효율 부문으로 들어가 있다. 또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공지능 기반의 차세대 계통 운영시스템을 적용하는 '디지털화' 역시 10대 핵심기술 목표 중 하나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시급한 기술혁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탄소감축에 파급효과가 큰 혁신적 기술들이 신속히 개발되고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