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진자 10만명 넘어…인구대비 비율 일본의 '절반'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6 18:53:34
  • -
  • +
  • 인쇄
주요국 대비 양호한 방역 성적표
백신 접종으로 '집단면역' 갖춰야
봄철 이동량 증가 주의
▲전세계 코로나19 현황. 원의 크기와 확진자 수가 비례한다. (출처=BBC)


2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30명으로 이틀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이로써 누적확진자는 10만276명으로 지난해 1월20일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1년2개월여 만에 10만명을 넘어섰다.

현재까지 국내 사망자는 1709명, 9만2068명은 완쾌 후 격리 해제, 6499명은 격리중이다.

2019년 12월 처음 코로나19 감염자가 확인된 이후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에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2020년 3월에는 이를 팬데믹(세계적 범유행)으로 격상시켰다. 2021년 3월 24일 기준 총 1.2억 명 이상의 확진자와 27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가장 많은 누적 확진자가 발생한 나라는 미국이다. 25일 기준 3000만여명이 발생했다. 미국은 누적 사망자 수 역시 1위로 53만여명에 달한다. 2위는 1200만여명의 확진자와 30만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브라질, 3위는 1170만여명의 확진자와 16만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인도다. 그 뒤로 러시아,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가 순위를 이었다.

▲25일 기준 국가별 코로나19 현황 (출처=블룸버그)


도시국가를 제외하면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수는 1만3880명으로 체코가 가장 많았고,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미국이 각각 9971명, 9567명, 8940명으로 순위가 이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10만명당 확진자 수는 193명에 그쳤다. 일본은 361명이다.

23일 기준 백신을 1회라도 접종 받은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이스라엘(60%)이었다. 그 뒤로 영국이 41.7%, 칠레가 30.8%로 순위를 이었다. 지난달 26일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는 인구의 1.4%가 백신을 접종했으며, 우리보다 백신접종을 일찍 시작한 일본은 0.5%에 그쳤다.


▲백신접종을 최소 1회 완료한 인구 비율 (출처=아워 월드 인 데이터)


우리나라는 25일 0시 기준 73만3124명이 1회차 접종을 완료했고 2691명이 2회차 접종을 완료했다. 이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는 67만여명, 화이자 백신 접종자는 6만여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사례는 총 1만10건으로, 근육통, 두통, 발열 등 경증 사례가 9893건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아낙필락시스 의심 사례 93건, 중증 의심 사례 8건, 사망 신고사례 16건으로 조사가 진행중이다.

지난 18일 한국리서치의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의향 조사에서 '접종받겠다' 67.8%, '이미 접종 받았다' 3.2%, '접종 받을 의향이 없다' 12.9%, '잘 모르겠다' 19.1%로 국민 3분의 1이 백신 접종에 대해 적극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누적 확진자 수는 전세계 84위로 주요국 대비 양호하다. 1월 19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로 세 차례의 대유행을 겪었고 지난해 12월 25일 일일 확진자 수 1240명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최근 들어 연일 400명대를 기록하며 상대적인 하락세에 접어든듯 보인다.

▲우리나라 일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추이 (출처=아워 월드 인 데이터)


하지만 봄철 따뜻해진 날씨로 인구 이동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렇듯 4차 유행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전문가들은 재확산에 대한 경계감을 늦춰선 안 되며, 국민 개개인이 백신 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집단면역'을 통해 코로나19를 종식해야 한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기후/환경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