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54일간 지속된 장마로 한반도 전체가 홍수로 몸살을 앓았다. 이번 장마는 산사태만 1000여 차례, 이재민만 8000여명이 발생하며 '역대급'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웃나라 역시 우리나라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중국은 집중호우로 이재민만 3000여만명에 달했고, 일본은 홍수로 1만여 가구가 침수 피해를 겪었다. 그야말로 장마가 동아시아를 집어삼킨 것이다.
동아시아를 덮친 집중 호우의 원인은 북극의 이상고온으로 관측되고 있다. 역대급으로 상승한 북극의 기온이 제트기류를 중위도까지 내려가게 만들었고,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제트기류에 막혀 북상하지 못하고 한반도 부근에 머물면서 이처럼 엄청난 양의 비를 뿌리게 된 것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역대급 장마'가 매년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북극의 이상고온 현상이 지구온난화의 한 징후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구온난화의 주범은 무엇일까.
1985년 1세대당 보유 가전기기는 3.29대. 30여년이 지난 지금 세대당 가전기기는 스마트폰, 노트북PC, 에어프라이어 등 신 가전기기를 합쳐 17.34대에 이른다. 우리 일상에 전자기기의 비중이 더 높아졌다는 의미다. 전자기기가 다양해진 만큼 전력수요 역시 급격히 늘어났다. 1985년 약 200kWh였던 1인당 전력소비량이 2019년 1만39kWh로 약 50배 이상 증가했다.
급격한 전력소비량의 증가는 대량의 이산화탄소 발생으로도 이어진다. 태양광, 풍력 등 대체 발전이 꾸준히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석탄을 주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의 비중이 절대적이기 때문인데, 실제 전력의 52.5%가 석탄으로부터 생산되고 있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의 절반이 이산화탄소 발생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북극곰의 생존을 위협하는 지구온난화. 우리의 전기 사용이 지금처럼 이어지는 한 우리 일상까지 위협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