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서 화석연료에 대한 언급이 빠져 '반쪽짜리'라는 지적을 받고있다.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COP30는 예정된 폐막일을 하루 넘긴 22일(현지시간) 폐막했다. 참가국 대표단은 합의문 최종문구를 놓고 2주간 협상을 이어간 끝에 예정된 회의 종료일을 하루 넘긴 이날 오전 공동선언문 도출에 성공했다.
공동선언문은 해수면 상승, 폭풍, 가뭄 등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적응 재원을 2035년까지 현 수준의 약 3배로 늘리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이행 가속화'하는 자발적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 탄소세 같은 일방적인 무역행동을 비판하며, 기후변화 대응 조치가 국제 무역에 있어 자의적이거나 부당한 차별 수단이 돼선 안 된다고 재확인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번 회의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석연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에너지 전환에 관한 사항을 합의문에 명문화할 수 있을지를 두고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2년 전인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개최된 COP28 기후 정상회의는 유엔 기후협상 역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 전환'을 한다는 합의를 한 바 있다. 다만 그 방법이나 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다.
올해 COP30 회의에선 주최국인 브라질의 제안으로 화석연료 퇴출 로드맵 마련에 힘을 모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 산유국들의 반대로 협의 진행에 난항을 겪었다.
이견 조율에 나선 브라질은 결국 폐회를 목전에 두고 화석연료에 대한 언급을 뺀 합의문 초안을 제안했지만, 유럽연합(EU) 국가와 아시아·태평양 도서국이 공개적으로 항의하며 막판까지 합의문 도출이 어려울 듯했다.
결국 EU 국가 대표들이 마지막 날 밤샘 협상 끝에 기존 입장에서 물러나고 절충안을 받아들이면서 최종 합의문 채택에 성공했다.
기후위기 대응에 목소리를 내 온 메리 로빈슨 전 아일랜드 대통령은 이번 선언문에 대해 "완벽하지 않으며 과학이 요구하는 것과 거리가 멀다"면서도 "그러나 다자주의가 시험받고 있는 시기에 국가들이 계속 함께 전진하고 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국제사회에선 미국이 유엔 기후협약 당사국총회 처음으로 이번 회의에 연방정부 차원의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은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성명을 내고 "COP30이 필요한 모든 것을 이뤄냈다고 가장할 수는 없다"면서도 "COP은 합의 기반이고 지정학적 분열의 시기에 합의는 점점 더 도달하기 어렵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기후위기 적응 재원 증대, 온도 상승 폭이 섭씨 1.5℃를 일시적으로 초과할 것으로 향한다는 인식 등 이번 회의에서 의미 있는 진전들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합의문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 석유 생산국들의 승리"라며 "무대응의 대가에 관한 많은 경고를 포함했지만, 지구 온난화에 대응할 방법에 대한 조항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