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적은 양의 플라스틱만으로도 다양한 해양생물이 죽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해양보호단체 '오션 컨저번시'(Ocean Conservancy) 연구팀은 전세계 동물 부검 결과 가운데 사망원인이 플라스틱으로 확인된 1만412건을 분석한 결과, 바닷새와 바다거북 등 해양동물들이 플라스틱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팀은 해양동물이 어느 정도 양의 플라스틱을 섭취하면 폐사에 이를 확률이 90%까지 이르는지 파악하기 위해 플라스틱 조각의 총량과 부피, 장내 플라스틱과 사망 가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봤다.
해양동물들은 플라스틱을 먹이 등으로 오인해 먹는 실수가 잦다. 가령 바다거북은 비닐봉지를 해파리로 오인해서 먹는다. 그러다보니, 폐사한 바다거북은 소화기관에 47%의 플라스틱이 들어있었고, 바닷새는 35%, 해양포유류는 12%가 소화기관에 플라스틱이 들어있었다. 이처럼 플라스틱을 삼킨 채 폐사한 해양생물의 비중은 매우 큰 편이다.
고무와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은 바닷새에게 치명적이다. 또 낚싯줄이나 그물 등의 어구와 부드러운 재질의 플라스틱은 해양포유류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바다거북은 재질을 불문한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이 위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코뿔바다오리(퍼핀)의 경우는 각설탕 1개 분량의 플라스틱만 섭취해도 폐사할 확률이 50%에 이른다. 붉은바다거북은 야구공 2개 분량의 플라스틱을 섭취하면 폐사할 확률이 90%에 이른다.
연구의 주요 저자인 에린 머피 오션컨서번시 소속 박사는 "전반적으로 동물에게 치명상을 입히는 데 드는 플라스틱의 양이 생각보다 훨씬 적다"며 "1분에 쓰레기차 1대 이상의 분량에 이르는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