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에게 1500억원어치 보석을 도둑맞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의 보안 비밀번호가 '루브르'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6일(현지시간) 프랑스 언론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 루브르 직원은 박물관의 감시카메라 비밀번호가 누구나 쉽게 추측할 수 있는 '루브르'(Louvre)였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방위산업체 탈레스에 위탁한 또 다른 보안시스템의 비밀번호도 '탈레스'(Thales)였다.
일부 보안 설비도 매우 노후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설비 운영에 쓰인 체제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이미 오래전에 기술지원을 종료한 윈도2000과 윈도서버 2003였다는 것이다.
루브르의 보안 허점은 이미 오래전부터 지적돼왔다.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10여년 전인 2014년 초부터 비밀번호가 지나치게 단순하고 보안시스템이 노후화됐다며 루브르에 보안 취약을 경고해왔다.
하지만 박물관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고 새 작품 구입에만 열중했다. 프랑스 감사원이 2018∼2024년 진행한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박물관 측은 새로운 작품 구입에만 예산을 몰아주면서 보안 강화를 위한 예산은 제대로 편성하지 않았다.
감사기간 루브르는 작품 구입에 1억500만 유로(약 1500억원) 이상, 전시 공간 리모델링에 6350만 유로(920억원)를 투입했지만 유지 보수, 안전 기준 충족을 위한 공사에 투입한 비용은 2670만 유로(380억원)에 그쳤다.
2004년 마련한 화재 대응 기본계획은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완료되지 않았고, 전시실 내 감시 카메라 설치도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루브르 전시관 내 감시카메라 설치 비율은 고작 39%다.
이렇듯 박물관이 보안을 매우 허술하게 유지해왔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박물관 측을 향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라시다 다티 프랑스 문화장관은 로랑스 데카르 루브르 박물관장에게 7일 임시이사회 소집을 지시하고 새로운 보안 부서 신설과 침입 방지 장치 설치 등을 논의한다.
한편 프랑스 파리 루브르박물관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아마추어 절도범 4명에 의해 왕실 보석 9점을 도난당했다. 이 가운데 1점은 부서진 채로 발견돼 회수됐다. 현재 절도 용의자는 4명 모두 체포됐지만, 나머지 8점은 아직 회수하지 못한 상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