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제작한 국내 '홍수 위험지도'...침수위험 높은 지역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9 15:10:17
  • -
  • +
  • 인쇄
▲두 AI 모델이 제작한 한국 '홍수 위험지도'(사진=POSTECH)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의외로 홍수에 취약한 지역인 것으로 인공지능(AI) 분석에서 나왔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와 경북대학교가 인공지능(AI)을 통해 지역별 홍수 위험도를 분석해보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부산 등 경남지역이 폭우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포스텍은 AI를 활용해 지난 2002년~2021년까지 20년간 행정안전부가 기록한 전국 시군구별 홍수 피해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전국 '홍수 위험지도'도 제작했다.

기후변화와 도시의 확장이 맞물리면서 홍수 피해지역은 더 커지고 있다. 콘크리트 포장도로와 건축물은 토양이 빗물을 흡수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동일한 강우량이 발생해도 침수피해를 더 키울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수도권에 400㎜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강남 일대가 침수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당시 침수차량 피해액만 13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동안 홍수 위험 예측에는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계층화 분석법'(AHP)이 주로 활용됐다. 그러나 이 방식은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면서도 예측 신뢰도를 수치로 제시할 수 없어 객관적인 대응 마련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최근 20년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홍수 위험을 결정하는 4가지 핵심요인인 △비가 얼마나 많이 오는지에 대한 '위해성' △위험에 노출된 인구와 시설 수인 '노출성' △피해를 받기 쉬운 정도인 '취약성'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응력' 등을 세분화해 AI 분석 모델인 '엑스지부스트'(XGBoost)와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에게 학습시켰다.

그 결과, 두 AI 모델 모두 서울과 인천 등 대도시를 '홍수 고위험 지역'으로 예측했다. 위험 수준대로 나열하면 △서울 강동구 △고양시 △동대문구 △동작구 △구로구 △성동구 △수원시 △인천 부평구 △인천 미추홀구 △부산 수영구 등이다. 특히 인구가 몰려있는 서울에서는 939만명이 홍수 피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각각의 AI가 짚은 홍수 피해 취약 요인이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엑스지부스트는 홍수 피해를 키우는 요인으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는 포장면 비율'(불투수면 비율)을 꼽았고, 랜덤포레스트는 '하천 면적'을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분석했다. 특히 서울은 대부분의 지면이 포장도로인 점과 하수 설비 관리가 어려운 점이 침수 피해를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역시 지대가 낮고 포장도로가 많은 점에서 취약 지역으로 꼽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홍수 위험에 대한 '예측 불확실성'을 수치로 평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여러 AI가 공통으로 위험하다고 평가한 지역은 방재 정책의 우선순위로 두고, 평가가 엇갈리는 지역은 추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누는 등 위험도별 분류가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이는 한정된 예산으로 효과적인 홍수 대책을 세우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 연구팀은 실질적인 해결책도 제시했다. AI 분석을 통해 '불투수면 비율'과 '하천 면적'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확인된 만큼,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빗물이 자연스럽게 땅으로 흡수될 수 있는 녹지 공간 확보와 하천 주변 개발 제한 등 자연 친화적 도시 개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에 참여한 정영훈 경북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홍수 관련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지역별 침수범람 위험지도를 생성함으로써 미래 지역맞춤형 홍수·침수 범람 대책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관리저널'(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5월 6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자사주 없애기 시작한 LG...8개 상장사 "기업가치 높이겠다"

LG그룹 8개 계열사가 자사주 소각, 추가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계획을 28일 일제히 발표했다. 이날 LG그룹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

쿠팡, 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확대 나선다

쿠팡이 중증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을 확대한다.쿠팡은 한국장애인개발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과 중증장애인 e스포츠 직무모델 개발과 고용 활성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LG전자 신임 CEO에 류재철 사장...가전R&D서 잔뼈 굵은 경영자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용퇴하고 신임 CEO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이 선임됐다.LG전자는 2026년 임원인사에서 생활가전 글로벌 1위를 이끈

네이버 인수 하루만에...두나무 업비트 '540억' 해킹사고

네이버가 두나무 인수결정을 한지 하루만에 두나무가 운영하는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에서 445억원 규모의 해킹사고가 터졌다.업비트는 27일 오전 두

기후/환경

+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주말날씨] 11월 마지막날 '온화'...12월 되면 '기온 뚝'

11월의 마지막 주말 날씨는 비교적 온화하겠다. 일부 지역에는 비나 서리가 내려 새벽 빙판이나 살얼음을 조심해야겠다.오는 29∼30일에는 우리나라에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날씨] 아직 11월인데...눈 '펑펑' 내리는 강원도

27일 강원도에 눈이 많이 내리면서 대설주의보까지 내려졌다.기상청은 이날 낮 12시를 기해 화천·양구군평지·강원남부산지·강원중부산

호주 화석연료 배출 전년比 2.2% 감소...재생에너지 덕분

호주가 재생에너지 전환율이 커지면서 화석연료 배출량이 줄어들었다.26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호주의 올해 화석연료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은

[날씨] 겨울 알리는 '요란한 비'...내일부터 기온 '뚝'

27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가 내린 후 기온이 뚝 떨어지겠다.이날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 충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