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 뿐일까?...꿀벌을 위협하는 12가지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0 15:48:34
  • -
  • +
  • 인쇄

전쟁과 미세플라스틱, 인공조명 등 인간활동에서 비롯된 신종 위험이 꿀벌 등 수분 매개종들을 더욱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5월 20일 '세계 벌의 날'을 맞아 꿀벌의 위협요인 12가지를 담은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방안까지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의 농약,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외에도 전쟁과 무력 분쟁,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오염, 야간 조명, 복합 농약 사용, 대기오염, 산불 등 새로운 인위적 위협이 벌의 생존을 압박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작물 다양성 감소를 초래해 벌이 계절 내내 안정적으로 섭식하지 못하게 만든다. 유럽 전역 315개 벌집에서는 페트(PET) 등 합성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으며, 가로등과 같은 인공조명은 야행성 수분곤충의 꽃 방문을 62%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간 수분에 의존하는 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농업용 항생제는 벌집과 꿀에까지 축적돼 벌의 꽃 방문과 채집 활동을 저해하며, 행동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농약은 단일 기준에서는 '안전' 수준이지만, 다른 화학물질과 혼합되면 예기치 못한 독성 상승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대기오염은 생존, 번식, 성장 단계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그래픽 ©newstree

보고서는 또한 일부 기후 대응 조치가 수분곤충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탄소흡수를 위한 단일 수종 조림은 꽃가루 공급이 부족해 수분곤충에 적합하지 않으며, 광산 개발시에도 수분곤충 서식지를 피하거나 복원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레딩대학교의 사이먼 포츠 교수는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수분곤충 붕괴를 막는 핵심"이라며 "벌은 단순한 보존 대상이 아니라 식량안보, 기후 복원력, 경제 안정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벌을 지키는 일은 곧 우리 자신을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레딩대학교와 글로벌 보전 캠페인 '비:와일드(Bee:wild)'가 공동 발표했으며, 세계 10여명의 수분곤충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