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 뿐일까?...꿀벌을 위협하는 12가지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0 15:48:34
  • -
  • +
  • 인쇄

전쟁과 미세플라스틱, 인공조명 등 인간활동에서 비롯된 신종 위험이 꿀벌 등 수분 매개종들을 더욱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5월 20일 '세계 벌의 날'을 맞아 꿀벌의 위협요인 12가지를 담은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방안까지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의 농약,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외에도 전쟁과 무력 분쟁,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오염, 야간 조명, 복합 농약 사용, 대기오염, 산불 등 새로운 인위적 위협이 벌의 생존을 압박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작물 다양성 감소를 초래해 벌이 계절 내내 안정적으로 섭식하지 못하게 만든다. 유럽 전역 315개 벌집에서는 페트(PET) 등 합성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으며, 가로등과 같은 인공조명은 야행성 수분곤충의 꽃 방문을 62%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간 수분에 의존하는 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농업용 항생제는 벌집과 꿀에까지 축적돼 벌의 꽃 방문과 채집 활동을 저해하며, 행동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농약은 단일 기준에서는 '안전' 수준이지만, 다른 화학물질과 혼합되면 예기치 못한 독성 상승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대기오염은 생존, 번식, 성장 단계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그래픽 ©newstree

보고서는 또한 일부 기후 대응 조치가 수분곤충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탄소흡수를 위한 단일 수종 조림은 꽃가루 공급이 부족해 수분곤충에 적합하지 않으며, 광산 개발시에도 수분곤충 서식지를 피하거나 복원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레딩대학교의 사이먼 포츠 교수는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수분곤충 붕괴를 막는 핵심"이라며 "벌은 단순한 보존 대상이 아니라 식량안보, 기후 복원력, 경제 안정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벌을 지키는 일은 곧 우리 자신을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레딩대학교와 글로벌 보전 캠페인 '비:와일드(Bee:wild)'가 공동 발표했으며, 세계 10여명의 수분곤충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주말날씨] 백두대간 서쪽은 '찜통더위'...동쪽은 '더위' 꺾여

이번 주말에도 백두대간 서쪽과 내륙은 체감온도가 35℃를 넘나드는 '극한폭염'이 이어지겠다. 곳곳에서 낮동안의 폭염의 영향으로 밤에도 기온이 내

'참치' 늘고 '오징어' 줄고...뜨거워진 동해안 어종 바뀌고 있다

동해안은 전세계 연안에 비해 수온이 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탓에 어종도 바뀌고 있다.연일 35℃가 넘는 폭염이 한창인 10일 오후 3시 동해안의 수온

"기후에너지부 제대로 작동하려면 기후재정 혁신해야"

정부가 기후예산을 재설계하지 않고 기후에너지부를 개편하는 것만으로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10일 기후재정포럼

'불판'으로 변한 지구…40℃ 폭염이 일상화 되려나

지구촌 곳곳이 '불판'처럼 달아오르고 있다. 아직 한여름이 시작되지 않았는데 유럽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한낮 기온이 40℃를 넘나들고 있다. 지

수백명 희생된 美 텍사스주 대홍수 나흘만에 뉴멕시코도 '홍수'

미국 텍사스주에서 대홍수 참사가 발생한지 나흘만에 이번에 뉴멕시코주에서 홍수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9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

'온열질환자' 하루새 200명 발생…'살인폭염' 언제까지?

수도권 낮 최고기온이 40℃가 넘는 등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하루 사이에 온열질환자가 200명 넘게 발생했다. 문제는 이같은 더위가 한동안 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