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월드IT쇼' 개막…AI가 바꾸는 산업과 일상 '한눈에'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4 14:14:20
  • -
  • +
  • 인쇄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월드IT쇼' (사진=연합뉴스)

인공지능(AI)가 바꾸는 산업과 우리의 일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월드IT쇼'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4일 개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2025 월드IT쇼'는 'AI로 디지털 대전환, 과학기술로 미래 선도'를 슬로건으로 오는 26일까지 사흘간 열린다.

7500평 규모 전시장에 삼성전자, LG전자, SKT, KT,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대기업을 비롯해 유망 AI 기업, 해외 17개국 기업 등 총 450여개 기업 및 기관들이 참가했다. 참가 기업들은 최신 AI 기술을 접목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다가올 미래를 직접 체험할 기회를 마련했다.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규모 가전전시회인 'CES 2025'에서 수상한 기업들을 한데 모아놓은 '디지털혁신관'도 마련돼 있다. 이곳에서 최신 기술의 트렌트를 엿볼 수 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막식에서 "우리나라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과 AI 기본법 제정 등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정책 기반을 빠르게 다져가고 있다"면서 "AI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ICT 연구개발 성과가 시장에서 빠르게 구현돼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기술사업화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갤럭시S25 체험관이 조성돼 있는 삼성전자 부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갤럭시S25 시리즈를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체험공간을 조성했다. 전시장 입구의 'AI 쇼룸'에서는 명령어 한 문장으로 여러 앱이 연동되는 기능과 생성형 AI를 활용한 '비주얼 AI' 체험해볼 수 있다. 지하철처럼 꾸며놓은 구역에서는 간단한 정보입력으로 개인 특화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나우 브리프' 기능을, 교실 공간에서는 AI로 교과목 문제를 푸는 기능을 체험해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관람객들이 갤럭시 AI 기능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AI 클래스'와 'AI 카메라 클래스'를 마련해 AI 기반 편의 기능과 고성능 카메라 활용법, 편집 도구 사용법 등을 가르쳐주고, 직접 촬영과 편집을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에 더해 스마트싱스와 빅스비를 활용한 AI 홈·헬스 기능 체험 공간도 별도로 구성했다. 관람객들은 삼성전자의 TV, 세탁기, 청소기 등 다양한 가전을 AI로 제어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

▲이용자 목소리와 표정·말투로 감정까지 파악하는 'LG 이동형 AI홈 허브'(사진=LG전자)

LG전자는 '공간·미래·연결하다'를 슬로건으로 각 제품과 기술이 모든 삶에 연결되는 미래를 제시했다. 거실과 부엌·세탁실 등 집을 연출한 'LG AI홈'에서는 날씨에 맞는 옷을 추천하고, 씻을 때 적절한 수온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등 AI홈으로 더 편리해진 가족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 아이 방에 있는 AI로봇 'LG 이동형 AI홈 허브'는 음성과 이미지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으로 고객의 감정을 파악해 원하는 책을 읽어주거나, 직접 그린 그림으로 그림동화를 만들어 구연하는 모습 등이 전시됐다.

또 관람객들이 AI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며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체험존도 마련됐다. 전시관 중앙에는 AI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차량과 결합, 고객의 생활과 이동방식을 새롭게 정의한 콘셉트카 '슈필라움'을 전시했다. 슈필라움은 독일어로 '놀이 공간'이라는 뜻으로 이용자의 목적에 맞춰 자동차에 LG전자의 맞춤형 가전을 접목할 수 있는 AI 모빌리티 공간 설루션이다. 또 새롭게 출시되는 LG 스마트모니터 스윙도 체험해볼 수 있다.

SKT는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테마로 전시장을 꾸미고 관람객들에게 △AI 데이터센터 △AI 팩토리 △AI 오피스 △AI 홈 △AI 병원 등 전시관 내 각각의 존에서 SKT AI 기술과 서비스 적용 사례를 선보였다. 특히 올해 MWC 25에서 발표한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AI 골드러시' 소재로 표현한 이벤트 공간도 별도로 운영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전통 한옥 스타일로 꾸며진 KT 전시 부스(사진=KT)

KT는 AI 마스터 브랜드 'K인텔리전스'를 주제로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한국적 AI 기술을 선보였다. 전통 한옥을 콘셉트로 꾸며진 전시부스에서 KT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설루션을 활용한 업무 효율화 AI 에이전트 4종, KT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폰', AI 전광판, AI 로하스 등 KT의 AI 기술을 엿볼 수 있다. 또 지니뮤직 케이팝 음원과 함께 AI가 생성한 댄서와 관람객들이 함께 춤을 추는 이벤트도 준비됐다.

현대자동차는 친환경 수소전기차 '디올 뉴 넥쏘'와 전기차 '아이오닉9'을 전시하고 향후 전기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업데이트 될 '스마트싱스 카투홈'을 체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스마트싱스 카투홈은 차량 내에서 스마트홈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기능으로 올해 CES에서도 주목받았다. 이에 더해 전기차 생애주기 맞춤형 통합 케어 서비스 'EV 에브리케어'를 경험할 수 있는 'EV존'도 마련했다.

전시장에선 개막 첫날부터 '에이전틱 AI 시대의 개막', 'AI 에이전트가 이끄는 AI 전환', 'AI와 자동차 SW의 진화' 등을 주제로 삼성SDS, SK텔레콤, 어플라이드 인튜이션 등 국내외 주요 기업 리더들의 기조 강연이 펼쳐졌다. 이 외에도 AI가 가져올 일상, 사회, 기업 솔루션, 클라우드 전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전문가 강연이 행사기간 내내 이어질 예정이다.

▲ '월드IT쇼'에서 선보인 로봇개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러쉬 ‘후탄’ 배쓰 밤 출시...수익금 75% 멸종위기종 보호에 기부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가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멸종위기 핵심종 보호메시지를 담은 '후탄(Hutan)' 배쓰 밤을 선보였다

카카오, 합병 11년만에 다음 분사...'다음준비신설법인' 설립

카카오가 다음을 합병한지 11년만에 독립법인으로 분사한다.카카오는 22일 오전 이사회를 통해 포털 다음(Daum)을 담당하는 콘텐츠CIC를 '다음준비신설법

국립환경과학원·SK하이닉스 '반도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맞손'

반도체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과 SK하이닉스가 협력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2일 경기 이천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기후/환경

+

370마리 남은 북대서양 참고래...저출산으로 사라질 위기

북대서양 참고래가 매년 50마리의 새끼를 낳아야 명맥이 유지되는데 해마다 출산하는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수년 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20일(현지시

침엽림 산불피해 1.5배 높다...수종 다양한 숲 '산불 방패막'

침엽수로 조성된 산림은 여러 수종이 섞여있는 혼합림에 비해 산불이 발생했을 때 1.5배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올 3월 의성에서 시

[새 정부에 바란다] "산불을 키운 산림청…산림정책 대전환 시급"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중금속 오염 준설토로 농지 조성?...자자체들은 '뒷짐'

중금속과 화합물에 관한 농지개량 기준이 있지만 이 있으나, 이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환경실천연합회가 올 2~4월까지 수도권

중국 날씨 왜 이래?...43°C였다가 다음날은 20℃

중국 북부 내륙이 한낮에 40℃ 넘게 치솟았다가 그 다음날 20℃까지 뚝 떨어지는 이상 기후현상이 연일 발생하고 있다.21일(현지시간) 중국 신화통신에

한반도 서식확인 생물 10년새 35% 증가…6만1230종 등재

한반도에 서식하는 생물이 지난 10년간 35%, 습지보호지역에선 5배 늘었다.국립생물자원관은 유엔(UN)이 정한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앞두고 2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