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작년의 2배

윤미경 발행인 / 기사승인 : 2025-03-30 12:26:38
  • -
  • +
  • 인쇄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에 폐허가 된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이미 지난해 한 해 배출량의 약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증가한 온실가스에 기후변화가 가속되고, 온실가스로 다시 산불이 나기 쉬운 환경이 되는 악순환인 '되먹임 효과'가 나타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0일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3월 27일까지 한국에서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234만5천182t(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한 해 배출량(133만5천848t)의 1.8배 수준이다.

숲이 불타면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력이 약해지고 숲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또 연소 과정에서 나무의 탄소 성분이 산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렇게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결과적으로 기후변화를 앞당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경북 지역 대형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지난 20∼27일 전국 평균기온과 평균습도는 13.3도와 55.3%, 평균풍속은 초속 2.4m였다.

최근 30년(1996∼2025년) 평균과 비교하면 평균기온은 5.3도 높고 평균습도는 2.6%포인트 낮았으며, 평균풍속은 초속 0.1m만큼 더 강했다.

기후변화로 높아진 기온과 낮아진 습도가 산불 규모를 키우고 지속기간을 늘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기후변화와 산불이 상호작용하며 규모를 키우는 이런 되먹임 효과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숲의 복원이 꼽힌다.

복원 시기를 앞당기려 종자를 뿌리거나 나무를 옮겨심는 식으로 인위적으로 개입하기보다는 자연이 스스로 불타기 전 모습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다는 게 전문가 제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생태학자는 "토양은 그곳에 형성된 숲의 유전정보, 즉 '잠재 식생'을 지닌다"며 "잠재 식생이 잘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수종 현황 분석을 토대로 산불취약지역을 선정한 뒤 별도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한 뒤에 계속 진찰하듯 산불 피해지역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상 소화장치 설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전세계 산호초 84% '하얗게 변했다'...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전세계 산호초 84%에서 백화(白化)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미국 산호초감시기구(CRW)는 지난 2023년 1월 이후 최소 82개국 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