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 한국전과정평가학회 학회장 겸 스마트에코 대표는 "공급망 관리없이는 탄소중립을 이행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익 학회장은 25일 뉴스트리와 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주최로 서울 서초구 한국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4 ESG커넥트포럼: 2025 기후통상과 에너지전환 전망과 전략'에서 '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전기 탄소배출계수 고도화 방안'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전세계적으로 제품 전과정 탄소배출 규제가 현실화됐다"며 "대응하지 않으면 우리기업은 수출하지 못하게 될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탄소중립을 이행하거나 지지하는 국가들의 전략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사안이 에너지 전환과 순환경제다. 에너지전환과 순환경제 모두 탄소배출량을 계산해야 하는데 가치사슬 즉 공급망을 보지 않고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할 수 없다는 게 김 학회장의 설명이다.
이 공급망을 평가하는 유일한 방법이 '전과정평가(LCA)'다. 지속가능배터리 규제, 자동차 전과정 탄소규제, 탄소국경조정제도, 공급망 실사법 모두 전과정평가와 연관돼 있다. 따라서 김 학회장은 "전과정평가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공급망을 연계한 탄소관리로 제품탄소규제에 대응해야 한다"며 "전과정평가가 도입되면 대기업들은 협력사들의 탄소배출량을 관리하게 되고 이러한 압박은 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과정평가의 국제 표준은 사업장의 활동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배출계수를 곱해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활동데이터뿐만 아니라 배출계수까지 실제로 측정하고 공개하도록 요구되고 있다고 김 학회장은 강조했다. 협력사와 파트너쉽을 구성해 여기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김 학회장은 전과정 탄소배출량을 평가할 때 제품 생산부터 사용 후 폐기까지 모든 과정에 전기가 사용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제품별 전기로 인한 배출량 비중은 최소 30%부터 최대 80% 이상에 달한다.
문제는 우리나라 전기 전과정 탄소배출계수가 출처에 따라 달라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질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전기 탄소배출계수의 개발요건과 국내 전기 탄소배출계수의 개발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나라에서는 직접공급량을 제외한 국가 그리드 탄소배출 계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김 학회장은 "전기배출계수를 낮추는 것이 우리나라 산업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최소 매 3년마다 전기 탄소배출계수를 개정, 개별 발전사와 한전이 자발적으로 전기 탄소배출계수를 매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