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야 할 국회가 3년째 탄소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도 고작 3.5%에 불과했다.
30일 녹색연합이 국회 정무위원회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으로부터 국회 사무처의 탄소배출량, 전력사용량, 차량등록 현황 등을 전달받아 국회의 기후위기 대응실태를 파악한 결과, 국회의 탄소배출량이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국회 탄소배출량은 2021년 2만989톤에서 2022년 2만1697톤, 2023년 2만2233톤으로 매년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기준배출량' 대비 탄소감축률도 2021년 14.3%, 2022년 12.6%, 2023년 7.2%로 줄어들었다. '기준배출량'은 2007~2009년의 평균 배출량을 토대로 매년 시설의 신설·증설·폐쇄를 반영해 조정되는 기준치로, 기준배출량 대비 감축률이 줄어든다는 것은 국회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미흡하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국회의 전력사용량 가운데 재생에너지로 조달된 비중은 거의 없는 수준이다. 2020년 1월~2024년 1월 최근 5년간 국회의 재생에너지 사용량은 3.5% 수준에 그쳤다. 그러는 사이 전력사용량은 꾸준히 늘어 2020년 57억1500만원이던 전기요금은 2023년 80억3300만원으로 4년 사이에 23억1800만원이나 늘었다.
국회의 전기차 운행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회 관용차량 전기차 비율은 17%(총 47대 중 8대), 국회 등록차량 전기차 비율은 2.5%(4882대 중 120대)에 불과했다. 특히 국회 의장단과 입법차장, 사무총·처장이 사용하는 10대 중 휘발유 차량이 8대, 하이브리드 1대, LPG 1대로, 전기차는 1대도 없다. 전국 비사업용 전기차 등록비율 2.1%보다 높지만, 2021년 서울시 관용차 중 전기차 비율 64.1%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우리나라 국회의 미흡한 기후위기 대응은 독일연방의회가 2013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30%까지 늘렸고, 미국 하원 의사당의 2023년 탄소배출량이 2006년에 비해 52% 줄었다는 사실과 비교하면 매우 대조적이다.
녹색연합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 국회의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사용 노력이 매우 미흡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입법부인 국회 스스로가 기후위기 대응에 그 책임과 역할을 앞장서서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장식 의원은 "국회를 기후·생태위기 대응을 위한 상징적인 곳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국회 녹색전환 센터' 설치를 제안한다"며 "국회의 탄소배출, 에너지뿐만 아니라, 자원순환, 물순환, 녹색 교통, 녹색 교육까지 포괄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