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후 한국은...'1인가구' 40% 고령가구 1000만 돌파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2 15:35:36
  • -
  • +
  • 인쇄
▲장래가구추계:2022~2054년 (자료=통계청)

현재 34% 비중인 우리나라 '1인 가구'가 2037년에 이르면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4집 가운데 1집이 '나홀로' 가구인 셈이다. 

12일 통계청이 최근 가구변화 추세를 반영해 향후 30년을 전망한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2022년 738만9000가구였던 '1인 가구'는 2052년에 이르면 962만가구로 200만 이상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1인가구가 매년 7만4000가구씩 증가한다는 것이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총가구수는 2166만이다. '1인 가구'의 비중은 2032년 39.2%로 늘고 2037년에 이르면 40.1%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처럼 '1인 가구'가 매년 증가하면서 2041년에 이르면 우리나라 총가구수는 2437만으로 늘어난다. 하지만 2042년부터는 마이너스로 돌아선다. 인구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정점을 찍고 내려오면서 2052년에 이르면 총가구수는 2327만7000가구로 쪼그라든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38년에 1000만을 넘고, 2052년에 전체 가구의 절반을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2042년 기준 65세 이상 가구 구성비는 44.4%로 늘어난다. 또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022년 2.26명에서 2034년 1.99명으로 떨어지다가, 2052년에 이르면 1.81명까지 줄게 된다.

▲장래가구추계:2022~2054년 (자료=통계청)

고령화로 가구주의 연령은 지속적으로 올라간다. 가구주 중위연령은 2022년 53.2세에서 2052년 65.4세로 12.2세가 높아진다. 2022년에는 40~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1.8%로 가장 많았지만 2052년에는 70대 이상이 4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특히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2038년 1003만가구로 1000만선을 넘어선다. 2052년에는 1178만8000가구로 30년동안 2.3배 증가한다.

노인 혼자 사는 '독거노인' 가구는 2022년 36.8%에서 2052년에는 42.1%로 증가한다. 성별로는 2022년에 66.1%였던 남자 가구주의 비중이 2052년에 58.5%로 떨어진다. 같은 기간 여자 가구주의 비중은 33.9%에서 41.5%로 올라간다. 평균 수명이 짧은 남성들이 먼저 사망하면서 여성 가구주의 비중도 커지는 것이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는 줄어든다. 2022년 기준으로 혼인 상태인 유배우자 가구주는 58.5%, 미혼 21.8%, 사별 10.0%, 이혼 9.7% 순이었다. 2052년에는 유배우자 가구주 비중이 43.4%로 줄고, 미혼 32.1%·이혼 13.9%·사별 10.6% 등 배우자가 없는 가구주 비중은 모두 커진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KB국민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도움드림창구' 운영한다

KB국민은행이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도움드림창구'를 새롭게 운영한다.KB국민은행은 65세 이상 고령자와 장애인은 물론 7세 이하 자녀를 동반한 보호자

기아, 오토랜드화성 사업장에 PPA 재생에너지 첫 도입

기아가 국내 사업장 중 처음으로 오토랜드화성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재생에너지 전력은 지난 2월 한국남동발전과 체결한

기후/환경

+

산불 휩쓴 산청...600㎜ 넘는 물폭탄에 곳곳 산사태

올봄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남 산청군에 이번에 600㎜가 넘는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산불로 회복되지 못한 산림이 폭우에 깎여 곳곳에 산사태가 발

농경지 1만3000ha 침수 피해…'극한호우'에 밥상물가도 '비상'

한달치 비가 하루에 쏟아지는 '극한호우'로 전국의 농경지 1만3000헥타르(ha)가 침수되면서 농산물 가격폭등이 예상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브라질 의회 '환경허가 완화법' 의결..."환경규제 사실상 붕괴"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는 브라질에서 환경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환경허가 완화법'이 의회를 통과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법

경기도민 절반 '장마철 피해대처 방법' 모른다...소득별 정보격차 커

경기도민의 절반은 장마철 피해를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저소득층의 재해대응 인지도는 고소득층보다 25.

美 재생에너지 심사는 '깐깐하게' 석탄재 정화규제는 '느슨하게'

미국 정부가 풍력·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는 강화하면서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유독성 석탄재의 정화 시한은 늦추기로 하는 등 재

역대급 '극한호우'...왜 충청과 남부에 비구름대 몰리나?

지난 16일부터 충청권과 남부지역을 강타하고 인명피해까지 낸 폭우의 원인이 지구온난화로 심화된 '대기의 강'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18일 기상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