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환경위기 인식이 '위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재단은 올해 한국의 '환경위기시계'가 9시11분으로 지난해보다 조금 나아졌지만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라고 5일 밝혔다. 환경위기시계는 환경재단과 일본 아사히글라스재단이 국가별 환경오염에 따른 인류생존의 위기 인식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환경위기시계가 12시에 가까울수록 환경에 대해 높은 위기의식을 갖는다는 의미다. 0~3시는 '좋음', 3~6시는 '보통', 6~9시는 '나쁨', 9~12시는 '위험'으로 분류된다.
전세계 128개국 2093명의 환경·지속발전가능·ESG 관련 전문가와 시민사회 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세계 환경위기시계는 지난해보다 4분 줄어든 9시 27분이고, 한국 환경위기시계는 지난해 9시28분보다 17분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재단에 따르면 세계 환경위기시계는 1996년 이후 2000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9시대로 '위험'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대륙 중 서유럽이 10시 15분으로 유일하게 지난해보다 시간이 자정에 가까워졌으며, 이외 모든 지역에서는 낮은 위기감을 보였다. 특히 멕시코, 중미, 카리브해는 각각 35분, 중동은 44분 가량 시계가 크게 후퇴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60대 이상 응답자들이 가장 위기의식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50대 연령대는 오히려 위기감이 떨어졌다고 답했다. 이는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 간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환경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토지 이용 및 광산 개발, 산림벌채, 산업폐기물 매립 등이 꼽혔다.
환경재단 관계자는 "환경 위기는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인식이 무뎌지면서 위기감이 줄어들고 환경위기시계가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이젠 정부·기업·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구체적 행동에 나설 때"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