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SAF 확산 로드맵' 전략 수립
국내 항공사가 운항하는 국제선 여객기에 처음으로 국산 지속가능항공유(SAF) 급유가 시작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20번째, 아시아에서 4번째로 SAF를 급유한 국가가 됐다.
'지속가능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는 동·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및 대기중 포집된 탄소 등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친환경 연료로,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배출량을 평균 80%까지 줄일 수 있다. 이에 지속가능항공유(SAF)는 국제항공에서 탈탄소 효과가 가장 큰 수단으로 인정받으며, 전세계 19개국에서 기후위기 대응 차원에서 SAF 급유 상용운항을 시행하고 있다. 국가에서는 SAF 혼합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국내 SK에너지·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도 올 상반기부터 SAF 생산을 시작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이날 일부 국제선 항공편에 SAF 급유를 시작한 것을 기점으로, 오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에 SAF 혼합유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항공·정유업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속가능항공유(SAF) 확산 전략'을 발표하면서, 운항노선, 기간 및 SAF 혼합비율 등은 국적항공사가 자율로 정하는 한편 국내 정유사와 SAF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이날 대한항공의 인천발 일본 하네다행 노선 항공편이 SAF 첫 급유를 하는 것을 시작으로, 티웨이항공(인천∼구마모토), 아시아나항공(인천∼하네다), 이스타항공(인천∼간사이), 제주항공(인천∼후쿠오카), 진에어(인천∼기타큐슈)가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SAF 급유를 시작한다.
정부는 또 ICAO의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가 의무화되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의 SAF 1% 혼합 급유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1% 혼합 급유가 의무화될 경우 연간 약 16만t의 탄소배출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승용차 5만3000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에 해당한다.
아울러 정부는 SAF의 생산·공급·기술 개발 전 주기에 걸친 지원책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세계 1위 항공유 수출국으로서 글로벌 SAF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산업부는 국내 기업의 SAF 생산공장 신설 투자 등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투자가 확정될 경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인허가 절차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폐식용유 외 다양한 원료를 기반으로 SAF를 생산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및 해외 바이오자원 공동 조사에 나서고, 국내외 기업과 한국석유공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원료 확보·저장·유통 인프라 구축 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밖에 산업부는 SAF 품질 기준 마련, 혼합량 검증을 추진하고, 국토부도 국적 항공사의 SAF 사용을 통한 탄소감축 실적이 CORSIA에 원활히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